이미지
코로나19 3차 접종 시 미 접종자보다 중증화 가능성이 96.8% 감소한다./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코로나19 유행 감소세가 확연해지면서 코로나 백신 3차 접종을 꺼리는 경우가 늘었다. 특히 중증화 가능성이 낮은 50대 이하에선 3차 접종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정부는 50대 이하라도 절대 안전하지 않다고 경고했다.

◇3차 접종, 중증 위험도 96.8% 감소
50대 이하는 코로나에 감염되더라도 치명률이 낮다. 방역 당국이 12일 공개한 4월 1주 사망자의 94.4%(2041명)는 60대 이상이었다. 이 중 80대가 64.2%(1389명), 70대가 20.6%(445명), 60대가 9.6%(207명)를 차지해 50대 이하는 코로나 중증 위험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를 보면, 3차 접종 여부에 따라 50대 이하도 코로나 중증위험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차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 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이 96.8% 낮았다. ‘미 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 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31.0배, ‘2차 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3.6배가 높다.

이러한 차이는 60세 이상 고령자에게서 더욱 두드러진다. 60세 이상 전체 인구 중 미 접종자 비율이 4% 내외임에도, 사망자 중 미 접종자의 비율은 37.9%(773명)이다. 집단면역이 상당히 형성됐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음에도 미 접종자의 치명률은 여전히 높은 것이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은 "백신으로 완전히 코로나 감염을 예방할 수 없더라도 중증과 사망 예방 효과가 있는 건 명백하다"고 말했다. 이어 "(백신접종의) 감염 예방 효과는 3개월 이후 감소할 수 있고, 6개월 이후엔 더 떨어질 수 있으나 중증과 사망 예방 효과는 훨씬 더 오래간다"고 설명했다.

이상원 단장은 "현재 수차례 접종을 통해 인플루엔자와 코로나19의 중증도와 치명도가 비슷하게 보이는 것"이라며 "본질적으로 코로나19의 위중증도와 치명률이 인플루엔자보다 높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