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이 질환’ 앓는 노인, 치매 위험 높아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높은 지방간 지수가 노년기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이는 독립적 위험인자가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비알코올 지방간’을 앓을 경우 노년기 치매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비알코올 지방간이란 간에 과도한 지방이 쌓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과음으로 인해 간 내 지방 합성이 촉진돼 나타나는 알코올성 지방간과 달리 과도한 열량 섭취가 주요 원인이다. 비만·당뇨병과 연관돼 발생하며, 특별한 증상은 없지만 증상이 악화되면 간섬유화·간경변증을 거쳐 심한 경우 간암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보라매병원 소화기내과 김원 교수·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0년까지 건강검진을 받은 60세 이상 성인 60만8994명을 비알코올 지방간 진단 지표인 ‘지방간 지수(Fatty Liver Index, FLI)’ 정도에 따라 세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룹별 치매 발병률을 비교·분석했다.

연구결과,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전체 7%에 해당하는 4만8614명에게 치매가 발병했으며, 이들의 연령과 성별, 흡연 등 연구 혼란변수를 조정한 분석 결과에서 높은 지방간 지수가 치매 위험 상승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그룹 간 비교에 주로 활용되는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결과에서 지방간 지수가 낮은 그룹은 중간 그룹에 비해 치매 발병 위험이 감소한 반면, 지방간 지수가 높은 그룹의 치매 발병 위험은 유의하게 상승했다. 김원 교수는 “연구를 통해 간경변증과 간암, 심혈관 질환의 주요 원인인 비알코올 지방간이 노년기 치매 발병 위험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아직 발병 기전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간 기능 저하로 인해 치매 원인 물질로 알려진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축적을 막는 ‘저밀도 지단백질 수용체 관련 단백질’의 생성이 감소하면서 치매 발병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치매는 본인의 건강을 위협할 뿐 아니라 가족과 주변인에게도 많은 고통을 주는 무서운 질환인 만큼, 치매 발병률이 높은 60세 이상 고령자는 간에 지방이 과도하게 쌓이지 않도록 평소 건강한 식습관과 함께 꾸준히 운동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간학회가 발행하는 공식 학술지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미지

보라매병원 소화기내과 김원 교수/보라매병원 제공



嶺뚮씭�섓옙占� �곌랬�� �좎럥�삼옙占�

占싼딅뮞鈺곌퀣苑� 占쎌뮆�э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