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질병청·건보공단, 코로나 치료법 개발 위해 빅데이터 개방
신은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03/31 10:23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질병관리청은 방역정책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코로나19로 인한 건강 피해 분석과 적극적인 예방 및 치료법 개발을 위해 코로나19 빅데이터를 연구기관에 개방한다고 밝혔다. 건보공단과 질병청은 지난해 코로나19 관련 자료를 통합 연계, 코로나19 전주기 자료와 공단의 전 국민건강정보를 결합한 우리나라만의 감염병 연구 빅데이터 분석환경을 구축한 바 있다.
이번 코로나19 빅데이터의 개방은 감염병 학술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국내 연구기관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다. 철저한 비식별화 조치와 데이터 개방 안전성 제고를 위해 별도의 연구심의 절차를 진행한다. 빅데이터 개방은 공단‧질병청 공동 주관으로 방역정책 필수과제에 대한 공동연구, 연구용 자료(DB) 제공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방역정책 필수과제에 대한 공동연구’는 시급성이 높은 코로나19 현안을 선정하고 연구수행자를 공모하여 공단‧질병청과 공동연구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양 기관은 코로나19 분석사례 제공 및 분석 큐레이팅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연구용DB 제공’은 공단의 국민건강정보와 코로나19 자료를 연계하여 일반연구자에게 맞춤형 연구DB의 방식으로 제공한다. 개인정보 비식별화 과정을 거쳐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모든 정보는 원천 배제한다. 자료는 공단의 빅데이터 분석센터에서 폐쇄망을 통해 제공, 개인정보 침해의 우려는 전혀 없다.
한편, 코로나19 빅데이터 개방의 자세한 추진일정은 4월 중 건보공단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The건강보험)을 통해 공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