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30대에 ‘이것’ 높으면 알츠하이머병 발병률 높아

김서희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30대에 콜레스테롤과 혈당이 높으면 알츠하이머병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30대에 혈당이 높으면 뇌가 작아져 치매 증상이 나타나는 알츠하이머병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반대로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HDL이 높으면 알츠하이머 병에 걸릴 위험이 낮아졌다.

미국 보스턴대 연구팀은 35~70세 성인 4932명을 대상으로 혈당 및 콜레스테롤 수치와 알츠하이머병의 상관관계를 비교·분석했다. 연구팀은 1979~2016년에 등록된 참가자들의 건강 기록을 조사해 4년마다 혈당, 혈압, 콜레스테롤 수치, 체질량 지수 등을 측정했다. 또한, 연구팀은 평균 38년 동안 참가자들의 인지 또는 정신 능력의 쇠퇴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30~40대에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HDL 수치가 높을수록 70세까지 알츠하이머병에 걸릴 확률은 낮아졌다. 특히 51~60세의 경우 HDL 수치가 15mg/dL 증가하면 노년의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을 18% 감소시킬 수 있었다. 반면, 50대의 혈당 수치가 높으면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이 14.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혈액 속 당분이 높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뇌를 포함한 다양한 장기에 손상을 줘 인지 저하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건강한 HDL 수치는 60mg/dl 이상이며 40mg/dl 미만은 낮은 것으로 간주한다. 혈당 수치의 경우 140mg/dl 미만이어야 정상이다.

연구 저자 린제이 패러 박사는 “이 연구는 콜레스테롤과 포도당 수치가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위험과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며 “더 많은 운동을 하고 건강한 식단을 섭취하는 등과 같은 생활 방식의 변화는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알츠하이머 협회 학술지(The Journal of the Alzheimer's Association)'에 최근 게재됐다.




占쎄퓭爰귨옙占쎌삕�좎럩�뺝뜝�덈굦占쎈벨�숅넫臾믪굲 占쎌쥙�∽옙��삕占쏙옙�용쐻�좑옙 占쎌쥙�⒳펺�뗭삕�앾옙�뗭삕占쎄퉮援꿨뜝�뚯쪣占쏙옙

占쎌쥙�⒳펺�뗭삕占쏙옙�뗭삕占쎈끏已�옙醫롫윥占쎈벨�숋옙占쎌굲壤깍옙占쎈뜄�됧뜝�뚯쪣占쏙옙 占쎌쥙�⒳펺�뗭삕占쎈벊彛띶뜝�덇턂占쎈틶�앾옙�덉굲�좎럩�쒙옙�쇱삕�ル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