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0~50대 중년에 흔히 생기는 어깨질환인 오십견. 갑자기 심한 어깨 통증이 찾아오면 당황하기 마련이다. 오십견은 유착성 관절낭염, 동결견으로 불리는데 말 그대로 어깨 관절주머니(관절낭) 주변에 생긴 염증으로 어깨 관절이 굳는 질환이다. 통증이 심하다는 특징이 있다.
아주대병원 재활의학과 윤승현 교수 연구팀은 약물과 운동치료에도 호전되지 않는 양측성 오십견 환자 165명(남성 69명·여성 96명)을 대상으로, 한쪽 어깨에 관절 내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를 시행하고 6~8주 뒤 증상이 얼마나 좋아졌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주사를 맞은 어깨의 통증은 평균 63%, 어깨를 바깥쪽으로 펴는 외전 각도는 37% 개선됐다. 통증 정도 및 관절 수동 운동범위(굴곡, 외전, 외회전, 내회전, 신전)가 호전된 것이다. 또 주사를 맞은 어깨보다는 효과가 작았지만, 반대편 어깨에서도 통증이 45%, 외전 각도가 15% 호전됐다.
연구팀은 한쪽 어깨에 주사된 스테로이드 일부가 전신으로 흡수되면서, 반대편 어깨의 염증을 감소시켰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런 다음 오십견이 양쪽 어깨에 생겼더라도 우선 증상이 심한 어깨 먼저 치료 후 양쪽 어깨의 호전 정도를 살펴볼 것을 권했다.
연구의 저자 윤승현 교수는 “양측성 오십견은 당연히 양쪽에 스테로이드를 주사해야 한다고 여겨져 왔다”며 “그러나 이번 연구를 통해 한쪽 어깨 치료로 양쪽 어깨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이 확인했다”고 말했다. 또 “이번 연구 결과가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주는 오십견 환자들의 스테로이드 주사치료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오십견 환자의 20%는 양쪽 어깨에서 통증이 발생한다. 특히 당뇨병 환자는 양측성 오십견이 흔하다. 그동안 양쪽 어깨 주사에 의한 스테로이드 과량 투여는 국소 및 전신 합병증의 위험도를 높여왔다. 앞으로는 필요 용량을 반으로 나눠 양쪽 어깨에 주사하는 것보다 한쪽 어깨에만 주사해도 임상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연구는 ‘국제의학연구(Journal of International Medical Research)’에 게재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