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아차' 하면 실명… 녹내장 예방법 있을까?

신은진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가장 좋은 녹내장 예방법은 검진이다. /게티이미지뱅크

녹내장은 '3대 실명질환'이라 불릴 만큼 실명 위험이 큰 안과질환이다. 그 때문에 적극적인 예방이 강조된다. 녹내장과 그 예방·치료법에 대해 알아보자.

◇충혈·두통·눈부심 등 증상 다양

개방각 녹내장은 주변 시야부터 차츰 시야가 좁아지는 증상이, 급성 폐쇄각 녹내장은 충혈, 안통, 두통, 시력저하, 눈부심 등이 초기 주요 증상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녹내장 초기는 자각증상이 거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환자가 심각성을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증상은 거의 없다. 환자가 문제를 느낄 정도가 되면 질환이 많이 진행돼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미 손상된 시신경은 회복이 어렵다.

◇조기 발견, 가장 좋은 예방법

녹내장은 서서히 시력을 잃어가는 질환이기에 애초에 발병하지 않게 예방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녹내장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알려진 게 없다. 녹내장의 질환 특성상 대부분 천천히 장기간에 걸쳐 진행돼, 조기에 발견해 시력 상실을 막는 게 가장 좋은 예방법이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박종운 교수는 "정기적인 검진으로 자신의 시신경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생활방식의 변화를 주는 게 녹내장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녹내장 검진 권장 횟수는 나이에 따라 다르다. 유전적 요인 등 녹내장 고위험군이 아니라면, 40세 이하는 5~10년, 40세 이상은 2~3년, 65세 이상은 1~2년 간격으로 안과 검진을 받는 게 좋다.

◇안압 높이는 행동 자제해야

녹내장 진단을 받았다면, 안압 상승 위험 요소를 제거해야 한다. 박종운 교수는 "녹내장 진단을 받으면 안압이 올라가는 상황을 피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까지 녹내장 발생 원인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됐으나 가장 확실한 발생 원인은 안구 내 안압의 상승이고, 그 외 가족력이나 시신경모양 변화, 당뇨와 고혈압 등 많은 위험요소가 녹내장 발생원인으로 알려졌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안압을 상승시키는 흡연, 무거운 역기를 드는 행위, 목이 졸리는 꼭 끼는 넥타이를 하는 것, 트럼펫과 같은 악기를 부는 행위 등은 녹내장을 악화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