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해열진통제, '이 사람'이 장기간 복용하면 혈압 올라간다?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평소 혈압이 높은 사람이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해열진통제를 지속해서 복용하면 혈압이 더 올라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평소 혈압이 높은 사람이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해열진통제를 지속해서 복용하면 혈압이 더 올라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에든버러대 의대 아이언 멈신타이어 임상약리학 연구팀이 혈압이 높은 환자 중 만성 통증 때문에 아세트아미노펜계열 진통제를 장기간 복용하고 있는 110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에게 1g짜리(만성 통증의 경우 흔히 처방되는 용량) 아세트아미노펜 또는 위약을 하루 4차례 2주 동안 투여했다. 그 후에는 2주간의 휴약 기간을 거친 뒤 아세트아미노펜계열 진통제를 복용하는 시험군과 가짜약을 먹는 위약군을 서로 바꿔 다시 2주 동안 시험을 진행했다. 2주 동안 휴약 기간을 둔 이유는 이전까지 투여한 의약품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연구팀은 두 차례의 임상시험 시작과 끝에 24시간 활동 혈압을 측정해 낮 시간 평균 수축기 혈압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 아세트아미노펜이 투여됐을 때는 위약이 투여됐을 때보다 낮 시간의 평균 수축기 혈압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세트아미노펜 사용을 중지한 뒤에는 올라갔던 혈압이 연구 시작 때 쟀던 처음 수준으로 다시 회복됐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아세트아미노펜이 심근경색과 뇌졸중의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인 혈압을 올릴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며 "의사는 환자가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혜열제를 장기간 지속해 사용하는 경우, 특히 심뇌혈관 질환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을 땐 득과 실을 면밀히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 연구 결과는 두통이나 고열 등으로 단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해열진통제는 이부프로펜 등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 계열의 진통제에 비해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NSAID는 오래전부터 혈압과 심장병 위험을 높다는 연구 결과가 다수 보고돼 왔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심장협회(AHA) 학술지 '순환'(Circulation) 최신호에 발표됐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