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설마 우리 아이도?”… 눈 ‘이렇게’ 뜨면 사시 의심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01/21 08:00
사시는 국내 소아 100명 중 2명에게 나타날 정도로 소아에게 흔하다. 시력과 시각을 맞추는 능력이 완성되는 8살 무렵까지 치료하지 않으면 치료가 어렵다. 치료 시기를 놓치면 안경을 써도 정상 시력에 도달할 수 없는 약시로 이어질 수 있어서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평소 사시 증상을 잘 인지하고 있는 게 도움이 된다.
사시는 한 쪽 눈이 정면을 볼 때 다른 쪽 눈이 바깥으로 나가는 외사시, 안으로 몰리는 내사시, 위나 아래로 어긋나는 상사시 등으로 나뉜다. 눈이 항상 돌아가 있기도 하고 피곤하거나 졸릴 때마다 비주기적으로 눈동자가 어긋나기도 한다.
나타나는 의심 증상으로는 ▲고개를 습관적으로 기울이거나 돌리거나 ▲한쪽 눈을 계속해서 감거나 ▲밝은 곳에서 심하게 눈부심을 느끼거나 ▲눈을 움직이는 데 제한을 느끼는 것 등이다.
사시 원인은 정확히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만 굴절이상·선천백내장·망막이상 등과 같은 안질환, 외상·뇌성마비 등과 같은 뇌질환, 안구 근육 이상 등으로 추정할 수 있다.
사시가 의심돼 병원에 방문하면 우선 시신경을 포함해 눈에 대한 전체 검사를 진행한다. 망막이상, 망막모세포종 등으로도 사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검사를 통해 치료가 필요한 사시로 판명되면, 사시 정도에 따라 시력 교정, 가림 치료, 수술 등의 치료를 진행한다. 눈에 굴절 이상이 있거나, 원시가 심해서 눈이 몰린 경우에는 비수술적 치료를 시도할 수 있다. 볼록렌즈 안경이나 잘 쓰지 않는 눈을 쓰게 하기 위해 가림 치료 등을 시행한다. 이 외에는 보편적으로 수술적 치료가 더 좋은 치료 효과를 보인다. 눈 근육 위치를 바꾸거나, 일부를 잘라 당겨 붙이는 등의 수술로 눈 근육의 힘을 조절할 수 있게 해 안구의 정렬을 바르게 만들어 준다. 수술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양쪽 눈에 할 수도 있다.
수술했다면 약 3주 동안 물, 손, 기타 물질이 눈에 닿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상처가 난 부위에 아물기 전에 균이 들어가면 감염으로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재발이 잦기 때문에 치료 후 관리도 매우 중요하다. 정기검진은 물론, 꾸준한 진료와 상담을 통해 관리하는 것이 좋다.
사시는 한 쪽 눈이 정면을 볼 때 다른 쪽 눈이 바깥으로 나가는 외사시, 안으로 몰리는 내사시, 위나 아래로 어긋나는 상사시 등으로 나뉜다. 눈이 항상 돌아가 있기도 하고 피곤하거나 졸릴 때마다 비주기적으로 눈동자가 어긋나기도 한다.
나타나는 의심 증상으로는 ▲고개를 습관적으로 기울이거나 돌리거나 ▲한쪽 눈을 계속해서 감거나 ▲밝은 곳에서 심하게 눈부심을 느끼거나 ▲눈을 움직이는 데 제한을 느끼는 것 등이다.
사시 원인은 정확히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만 굴절이상·선천백내장·망막이상 등과 같은 안질환, 외상·뇌성마비 등과 같은 뇌질환, 안구 근육 이상 등으로 추정할 수 있다.
사시가 의심돼 병원에 방문하면 우선 시신경을 포함해 눈에 대한 전체 검사를 진행한다. 망막이상, 망막모세포종 등으로도 사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검사를 통해 치료가 필요한 사시로 판명되면, 사시 정도에 따라 시력 교정, 가림 치료, 수술 등의 치료를 진행한다. 눈에 굴절 이상이 있거나, 원시가 심해서 눈이 몰린 경우에는 비수술적 치료를 시도할 수 있다. 볼록렌즈 안경이나 잘 쓰지 않는 눈을 쓰게 하기 위해 가림 치료 등을 시행한다. 이 외에는 보편적으로 수술적 치료가 더 좋은 치료 효과를 보인다. 눈 근육 위치를 바꾸거나, 일부를 잘라 당겨 붙이는 등의 수술로 눈 근육의 힘을 조절할 수 있게 해 안구의 정렬을 바르게 만들어 준다. 수술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양쪽 눈에 할 수도 있다.
수술했다면 약 3주 동안 물, 손, 기타 물질이 눈에 닿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상처가 난 부위에 아물기 전에 균이 들어가면 감염으로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재발이 잦기 때문에 치료 후 관리도 매우 중요하다. 정기검진은 물론, 꾸준한 진료와 상담을 통해 관리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