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골반 틀어졌나? ‘이 자세’로 확인 가능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12/30 07:30
방향에 따라 ‘골반전방경사’와 ‘골반후방경사’로 나뉜다. 골반전방경사는 골반이 지나치게 앞으로 나온 것으로, 앉아있는 시간이 많은 사람, 평소 하이힐을 자주 신는 사람에게 잘 나타난다. 몸이 균형을 잡는 과정에서 허리에 통증이 생기고 등이 굽는 증상이 발생한다.
골반후방경사의 경우 골반이 뒤쪽으로 틀어진 상태다. 허리 통증과 뻣뻣함 등을 느낄 수 있으며, 목을 앞으로 빼는 자세로 인해 거북목을 동반하기도 한다. 앉을 때 엉덩이를 앞으로 빼고 앉는 습관을 가진 사람일수록 발생하기 쉽다.
골반전방경사와 골반후방경사는 뒤통수와 발뒤꿈치를 벽에 붙이고 선 상태에서 허리 뒤쪽과 벽 사이에 손을 넣어보는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손이 2개 이상 들어가면 골반전방경사를 의심해야 하며, 반대로 손이 아예 들어가지 않는다면 골반후방경사일 수 있다. 정상일 경우 손이 1개 정도 들어간다.
틀어진 골반을 쉽게 원상태로 되돌릴 수는 없으나 자세교정, 생활 습관 개선 등을 통해 증상·통증이 악화되는 것은 막을 수 있다. 다리를 꼬는 자세, 양반다리 자세는 한쪽 골반에만 과도하게 무게가 실릴 수 있으므로 삼가고, 한쪽 어깨에 무거운 가방을 메거나 한쪽 주머니에만 물건을 넣는 습관도 고쳐야 한다. 평소 두 다리로 몸을 지탱한 상태에서 아랫배에 힘을 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꾸준한 근력운동도 병행해야 한다. 골반전방경사일 경우 엎드린 상태에서 다리를 구부리는 ‘레그컬’과 일어선 상태에서 배 전체에 힘을 주는 ‘드로우인’ 운동이 추천된다. 골반후반경사 환자는 엎드린 상태에서 손·발을 쭉 뻗는 ‘슈퍼맨 자세’를 통해 장요근과 척추기립근을 단련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같은 방법만으로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척추측만증과 같은 질환을 의심해야 한다.
골반후방경사의 경우 골반이 뒤쪽으로 틀어진 상태다. 허리 통증과 뻣뻣함 등을 느낄 수 있으며, 목을 앞으로 빼는 자세로 인해 거북목을 동반하기도 한다. 앉을 때 엉덩이를 앞으로 빼고 앉는 습관을 가진 사람일수록 발생하기 쉽다.
골반전방경사와 골반후방경사는 뒤통수와 발뒤꿈치를 벽에 붙이고 선 상태에서 허리 뒤쪽과 벽 사이에 손을 넣어보는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손이 2개 이상 들어가면 골반전방경사를 의심해야 하며, 반대로 손이 아예 들어가지 않는다면 골반후방경사일 수 있다. 정상일 경우 손이 1개 정도 들어간다.
틀어진 골반을 쉽게 원상태로 되돌릴 수는 없으나 자세교정, 생활 습관 개선 등을 통해 증상·통증이 악화되는 것은 막을 수 있다. 다리를 꼬는 자세, 양반다리 자세는 한쪽 골반에만 과도하게 무게가 실릴 수 있으므로 삼가고, 한쪽 어깨에 무거운 가방을 메거나 한쪽 주머니에만 물건을 넣는 습관도 고쳐야 한다. 평소 두 다리로 몸을 지탱한 상태에서 아랫배에 힘을 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꾸준한 근력운동도 병행해야 한다. 골반전방경사일 경우 엎드린 상태에서 다리를 구부리는 ‘레그컬’과 일어선 상태에서 배 전체에 힘을 주는 ‘드로우인’ 운동이 추천된다. 골반후반경사 환자는 엎드린 상태에서 손·발을 쭉 뻗는 ‘슈퍼맨 자세’를 통해 장요근과 척추기립근을 단련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같은 방법만으로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척추측만증과 같은 질환을 의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