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겨울철 발 시림, 의외로 ‘이것’ 때문일 수도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발끝이 시리고 다리·엉덩이 저림 증상이 동반된다면 ‘척추관협착증’이 원인일 수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추운 겨울에 발이 시린 것은 당연한 이야기다. 그러나 실내에서도 시림 증상이 이어지고, 다리·엉덩이에 저림 증상까지 동반된다면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내에서 신경이 지나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지고 이로 인해 신경이 눌리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특히 겨울에는 척추 주변 근육·인대가 낮은 기온에 경직돼 척추를 압박하면서 증상이 심해질 수 있다. 노인의 경우 노화 과정에서 척추 뼈가 두꺼워지면서 척추관협착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발 시림은 척추관이 좁아져 다리로 내려가는 신경이 눌리면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발끝이 시림과 동시에, 하지가 저리거나 당기고 타는 듯한 통증이 나타난다. 허리를 숙이면 신경이 덜 눌려 통증이 줄어들지만, 허리를 펴면 다시 심해진다.

척추관협착증을 방치하면 통증은 물론, 걷는 게 어려워지면서 일상에도 지장이 생긴다. 심한 경우 마비 증상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병원에서는 대부분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 보존적 치료로 수술 없이 통증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통증이 심해 허리를 제대로 펴지 못하는 등 신경이 많이 눌려있다면 카테터를 이용한 신경성형술·풍선확장술이 시행되기도 한다.

척추관협착증을 예방·완화하기 위해서는 겨울철 보온에 신경 쓰는 동시에, 꾸준한 운동으로 허리 주변 근력을 키워야 한다. 운동을 통해 좁아진 척추관을 넓힐 수는 없으나, 좁아지는 속도를 늦추고 좁아진 상태에서 버티는 힘을 기를 수 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