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뜨거운 물로 씻을 때마다 두드러기가 생긴다면 ‘콜린성 두드러기’일 수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겨울철 뜨거운 물로 씻거나 따뜻한 실내로 들어갈 때마다 몸에 두드러기가 생긴다면 ‘콜린성 두드러기’를 의심할 필요가 있다. 콜린성 두드러기는 급격한 외부 온도 상승이나 과도한 스트레스 등에 의해 체온이 1도 이상 올라갈 때 생기는 피부질환으로, 과격한 운동을 한 경우에도 두드러기가 나타날 수 있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체온이 올라갈 때 땀을 내어 신체 온도를 조절하는 몸의 반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체온이 올라가면 몸의 부교감신경이 ‘아세틸콜린’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며, 아세틸콜린이 땀샘의 수용체와 만나 땀을 생성한다. 그러나 아세틸콜린이 비만세포와 만나게 되면 히스타민을 분비해 두드러기가 발생하게 된다.

주로 피부에 1~2mm 정도 크기의 발진이 생기며, 색은 희거나 붉은색을 띤다. 주위에 1~2㎝ 정도의 홍반성 발진이 함께 나타나고, 심한 가려움, 따가움을 동반하기도 한다. 심한 경우 가슴이 답답하거나 호흡곤란, 복통, 현기증을 겪는 경우도 있다.

콜린성 두드러기는 대부분 시간 경과와 함께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그러나 증상이 지속·악화된다면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해 증상을 완화해야 한다.

완치가 어려운 만성질환인 만큼 증상이 생기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는 게 중요하다. 겨울철에는 체온이 갑자기 오르지 않도록 지나치게 뜨거운 물로 목욕하지 않고, 격한 운동이나 사우나·찜질방 이용도 피하는 게 좋다. 평소 스트레스를 적게 받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