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기과

소변 색으로 알 수 있는 질환… 짙은 노란색이면?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 문수아 헬스조선 인턴기자

이미지

간 기능이 저하되면 짙은 노란색의 소변이 나올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소변은 몸의 상태에 따라 색이 달라지기 때문에 그 색으로 건강 상태를 유추할 수 있다. 소변 색에 따라 의심해야 할 질환을 알아본다.

◇짙은 갈색, 사구체신염·횡문근융해증 의심
소변이 아주 짙은 갈색이라면 사구체신염의 증상일 수 있다. 이는 콩팥으로 들어온 혈액이 여과되는 부위인 사구체에 염증 반응이 생겨 유발되는 질환이다. 치료하면 회복이 가능하지만, 시기를 놓치면 계속 망가질 수 있어 바로 병원에 가야 한다. 또 짙은 갈색 소변은 횡문근융해증의 증상일 수도 있다. 갑작스러운 고강도 운동으로 횡문근(팔·다리 등 움직이는 부위에 붙어 있는 가로무늬 근육)의 세포가 손상돼 세포 속 미오글로빈, 칼륨, 칼슘 등이 혈액으로 녹아드는 질환이다. 이는 콩팥 기능의 급격한 장애를 보이는 질환인 '급성 신부전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투명한 무색, 신장성요붕증 의심
소변이 투명한 무색이라면 신장성요붕증을 의심할 수 있다. 이는 심한 갈증이 느껴짐에도 비정상적으로 많은 양의 농축되지 않은 소변을 보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항이뇨 호르몬의 생성과 작용단계에 이상이 생겨 나타난다. 신장성요붕증이 지속할 경우 나트륨 수치가 과도하게 높아져 무력감·의식저하·경련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지속해서 투명한 무색의 소변을 본다면 수분 섭취를 줄이고 병원에 방문할 것을 권장한다.

◇붉은색, 혈뇨·요로계통 질환 의심
붉은색 소변은 비정상적인 양의 적혈구가 섞여 배설된 것으로 혈뇨라 불린다. 혈뇨를 본다면 소변이 이동하는 통로인 요로계통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상부 요로계인 신장·신우·요관 등에 출혈이 있으면 검붉은 색, 하부 요로계인 방광·요도·전립선 등에 출혈이 있을 경우 붉은색을 띤다. 또한, 방광암·신장암·전립선암 등 비뇨기 관련 암이 생겼을 때도 혈뇨가 나타날 수 있다. 이외에도 무리한 운동이나 특정 약물이 원인일 수 있으니 병원에서 정밀 진단을 받는 게 좋다.

◇짙은 노란색, 간질환·요로감염증 의심
소변 색이 지속해서 짙은 노란색을 띤다면 간 건강을 점검해야 한다. 간 기능이 떨어지면 몸속의 노란빛을 띠는 빌리루빈 수치가 높아지는데, 이 성분이 소변으로 배출된 것일 수도 있다. 짙은 노란색 소변을 보면서 황달 증세까지 나타난다면 이른 시일 내에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또한, 요로감염증에 걸려도 짙은 노란색 소변이 나올 수 있다. 이는 소변이 통과하는 장기인 요로가 세균에 감염돼 발생하는 질환이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