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깔끔해서 병 걸린다는 '위생 가설'… 폐기 주장 나와
전혜영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07/09 08:10
英 런던대 그레이엄 룩 교수, 위생 가설 폐기 논문 발표
가정에서 흔히 접촉하는 미생물, 면역에 도움 안 돼
알레르기 증가, 대기오염·유전자 등 여러 원인의 상호작용 결과
"어릴 적 너무 깔끔하게 지내면 오히려 병이 잘 생긴다"는 말이 있다. 실제로 이를 뒷받침하는 의학적 가설이 있는데, 이는 '위생 가설'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현대 인류는 유아기에 미생물 노출이 과거에 비해 적기 때문에 면역체계가 덜 발달해 알레르기 질환이 잘 생길 수 있다는 주장이다. 대부분 전문가는 위생 가설을 일부분 인정하고 있는데, 그렇다고 해서 아이를 일부러 지저분한 환경에서 자라게 해서는 안 된다고 조언한다.
◇위생 가설 일부분 맞지만… 잘못 이해하는 게 문제
위생 가설은 1989년 영국에서 데이비드 스트라찬 박사에 의해 최초로 제시됐다. 현대 사회에 이르러 상하수도 시설이 개선되고, 각종 위생용품이 등장하면서 전반적인 가정 내 위생 상태가 좋아졌다. 이로 인해 어린 시절 감염병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알레르기성 질환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도시에 사는 아이들은 시골에 사는 아이들보다 알레르기 발병률이 높다는 게 근거였다. 이후 2003년 런던대 그레이엄 룩 명예교수는 위생 가설에 더욱 합리적인 설명을 덧붙인 '오래된 친구 가설'을 제안한다. 어린 시절에 흔한 감염병에 노출되는 경험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인류가 원시 시대부터 겪어온 공생 미생물에 노출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어쨌든 두 가설 모두 유년기에 감염 물질이나 미생물에 대한 노출이 부족하기 때문에 면역 발달을 저해한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오래된 친구 가설을 제안했던 그레이엄 룩 교수는 최근 위생 가설을 폐기해야 한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유는 크게 4가지다. ▲현대 가정에서 발견되는 미생물은 우리 면역에 필요한 미생물이 아니며 ▲백신은 감염 예방뿐 아니라 면역 체계 강화에 도움을 주므로 굳이 병원체에 노출되어 위험을 감수할 필요가 없고 ▲자연환경의 미생물은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가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 노출이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근거는 없으며 ▲최근 알레르기 질환이 늘어난 것은 미생물 노출 때문이 아닌, 청소 제품 노출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도 있다는 내용이다.
룩 교수의 주장은 위생 가설을 전면 부정한다기보다는, 위생 가설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우려로 분석된다. 위생 가설을 과도하게 믿고 아이를 일부러 청결하지 못한 환경에 노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레이엄 룩 교수는 "어머니, 가족 구성원, 자연환경, 백신 등을 통해 우리에게 필요한 미생물에 충분히 노출될 수 있다"며 "위생 관리를 비난하는 과학 문헌과 언론의 흐름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부러 '더럽게'는 금물, 살균·소독 제품도 주의를
위생 가설이 신빙성 있는 가설임에도 불구하고 '정설'로 자리 잡지 못한 이유는 무엇일까. 복합적인 원인으로 나타나는 알레르기 질환을 단지 '위생이 좋아진 탓'이라고 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유진호 교수(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홍보이사)는 "위생 가설을 지지하는 여러 연구 결과가 나온 것은 사실이지만, 위생 가설을 맞거나 틀리다고 할 문제는 아니다"라며 "최근 들어 알레르기 질환이 많아진 것은 단순히 위생 가설만이 원인인 것이 아니라, 대기오염·유전자 등 여러 원인의 상호작용 결과"라고 말했다.
그런데도 여전히 "너무 깨끗해선 안 된다"는 인식을 가진 부모들이 있다. 자연적인 면역력 형성이 중요하다며 아이를 일부러 수두에 걸리게 한 부모들이 논란이 되기도 했다. 물론 아이를 일부러 더러운 환경에 노출 시키는 것은 알레르기를 예방하거나 면역력을 강화한다는 근거가 전혀 없다. 유진호 교수는 "만약 아이를 일부러 더러운 환경에서 키웠을 때 알레르기가 100% 예방된다면 시도해볼 수도 있겠지만, 실제로는 전혀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다만, 위생은 청결하게 유지하되 아이에게 세제나 청소용품이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레이엄 룩 교수는 과도한 화학물질 노출이 오히려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하는 'TH2' 면역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했다. 룩 교수는 "바닥에서 기어다니는 아이들은 바닥 청소에 사용된 유해 물질을 성인보다 많이 흡입할 수 있다"며 "특히 최근 감염을 막기 위해 살균, 소독을 자주 하는 환경에서 아이가 제품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