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차갑거나 뜨거운 물을 마실 때 이가 시큰거리는 증상이 지속되면 치아균열증후군을 의심해봐야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차갑거나 뜨거운 물을 마실 때 이가 시큰거리는 증상이 지속되면 '치아균열증후군'을 의심해야 한다.

치아균열증후군이란 치아에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의 미세한 균열이 생긴 것을 말한다. 특정 부위로 음식을 씹을 때, 차거나 뜨거운 물을 마실 때 이가 시큰거리는 증상을 유발한다. 치아균열이 심하면 치아끼리 닿기만 해도 통증이 느껴진다. 음식을 씹을 때마다 아프지는 않지만 가끔 씹을 때 순간적으로 깜짝 놀랄 정도로 아픈 경우에도 치아균열이 발생했을 확률이 높다.

치과에서도 초기 치아균열을 진단하기 쉽지 않다. 방사선 촬영으로도 확인하기 힘들어, 염색약 검사, 빛 투과 검사 등을 실시한다. ​고무재질의 기구(Tooth Slooth)를 이용해 치아 중 일부분만 기구에 닿게 하고 씹어 보게 해 아픈 곳을 찾아내 진단하기도 한다. 한번 균열이 간 치아는 자연치유가 되지 않아 되돌릴 수 없고 치아 뿌리까지 갈라지면 치료가 불가능해 이를 뽑아야 할 수도 있어 발견하는 즉시 치아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한다.

치아균열은 그 정도에 따라 치료법이 나뉜다. 통증이 없는 초기에는 금이 간 부위를 조금 갈아내고 금이나 세라믹 등을 채워 넣어 균열이 더 진행되지 못하게 한다. 음식을 씹을 때 통증이 생기는 경우에는 크라운 등으로 이 전체를 씌울 수 있다. 작은 열(熱)에도 통증이 생기는 정도면 신경치료를 해야 하고 이를 뽑아야 할 수 있다.

치아균열을 막으려면 음식을 한쪽 치아로만 씹거나 얼음을 씹는 습관을 피해야 한다. 노인의 경우 한쪽 어금니가 없는 경우가 있다. 이때 반대쪽 어금니를 주로 사용하면서 씹는 쪽 어금니에 금이 가기 쉬우므로 틀니, 보철 치아를 이용해 씹는 힘을 분산시켜야 한다.​​ 이에 금이 간 사람은 이갈이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는 이를 갈지 못하게 하는 보조장치를 끼고 턱근육에 보톡스 주사를 놓는 식으로 치료한다.​ 치아에 충치가 있거나 치아 마모가 심한 경우도 치아균열이 생기기 쉬워 지속적인 치과 검진이 필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