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조직염은 피부에 상재하는 사슬알균과 황색 포도알균과 같은 세균 무리에 의해 피부 속 조직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 세균은 피부의 손상된 부분을 통해 침투한다. 세균은 주로 찰과상, 절개된 상처, 화상 부위, 곤충에 물린 자리, 수술 절개부 및 정맥내 도관 등을 통해 표피로 침투하여 연조직염이 발생한다. 연조직염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7~8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5년부터 2019년 ‘연조직염’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하였다.
진료인원은 2015년 111만 6천 명에서 2019년 122만 3천 명으로 10만 8천 명이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2.3%로 나타났다.
연조직염 질환으로 진료받은 2015년 및 2019년 월별 건강보험 진료 인원을 살펴보면 여름에 환자가 가장 많았으며, 7월~8월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7월과 8월은 전월대비 환자가 약간 증가하며, 전체 진료인원 수가 가장 많은 월은 8월로 약 16만 2000명이었고, 가장 적은 월은 2월로 약 9만 8000명으로 나타났다.
연조직염의 주요 증상은 열감과 통증, 국소적인 압통이 있는 적색의 홍반성 부종 병변으로 나타나서 빠르게 진행되며 맑은 액체가 들어있는 물집이나 고름이 염증부위에 동반되기도 한다.
팔다리에 생기는 경우 림프관염과 림프절염이 동반되기도 하며, 발열이나 오한, 권태감 같은 전신증상이 동반되고 균혈증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감염내과 정우용·박윤선 교수는 "여름철에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습도가 높고 야외활동이 늘면서 연조직염의 주요 원인균인 황색 포도알균 등의 세균 번식이 쉽고, 상처를 입거나 모기 등 벌레에 물린 부위가 연조직염 질환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서인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
연조직염 질환을 치료하지 않고 장기간 방치하게 되면 피부괴사, 패혈증, 화농성 관절염, 골수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할 경우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연조직염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유발요인을 교정하고 피부손상을 막는 것이다. 무좀이나 짓무름 등이 있으면 즉시 치료하도록 한다.
연조직염 치료 방법은 여름철 발생한 피부상처는 완전히 건조한 뒤 연고를 도포하고, 이후 소독밴드를 붙여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모기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며, 모기 물린 자리에 침을 바르거나 긁는 행동을 자제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치료는 약물치료로 항생제, 소염진통제 등을 주로 사용한다. 냉찜질과 충분한 휴식이 도움이 되기도 한다. 진행 정도에 따라 초기에는 경구 항생제 치료를 할 수 있으나, 전신 증상이 심하게 나타날 경우 입원해 정주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고 상황에 맞는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