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죽을 것 같은' 공포감… 공황장애 어떻게 극복하나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공황장애로 힘들어하는 사람이 많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공황장애로 병원을 찾는 환자 수는 2015년 10만5210명에서 2019년 16만9550명으로, 5년 새 60% 넘게 늘었다. 공황장애, 대체 왜 생기는 걸까.

공황장애란 곧 어떤 위중한 일이 생길 것 같이 아주 심한 불안감을 느껴,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일어나는 일종의 도피 반응이 나타나는 걸 말한다. 실제로 위험 대상이 없는데도 죽거나 미치거나 자제력을 잃을 것 같은 공포감이 동반되는 질환이다. 공황장애와 공황발작은 구별해야 한다. 공황발작이란 그럴만한 이유가 있든 없든 간에 극도의 공포감이 갑작스레 밀려와 수 분 내에 최고조에 이르다가, 2~30분 후면 언제 그랬나 싶게 사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공황발작을 겪는다고 무조건 공황장애가 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러한 발작이 반복적으로 오면서, 또 다시 이런 발작이 올까봐 지속적으로 두려워하고 이를 피하기 위해 유발하기 쉬운 장소나 상황을 피하기 시작하면 공황장애라 진단한다.

공황장애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천재지변, 전쟁, 사고, 범죄 등 목숨을 잃을 지도 모르는 상황에 접하면 어떤 사람이라도 극도의 공포반응을 보일 수 있다. 문제는 일상생활 중에 공포반응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환자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크게 호흡기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뉜다. 호흡기 증상이 주로 나타나는 환자들은 ‘숨이 콱 막힌다’고 표현한다. 실제로 기도가 막힌 것이 아닌데도 숨을 가쁘게 몰아쉬고, 팔다리가 저리면서 심하면 사지에 경련을 일으킨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심장마비와 같다’고 표현한다. 가슴이 꽉 막히고 통증이 느껴지며, 심장이 계속 방망이질하듯 뛰어서 ‘이렇게 죽는구나’라는 느낌을 받는다. 이밖에 토할 것 같거나, 어지럽고 졸도할 것 같거나, 사람들 앞에서 대소변을 실수할 것 같은 느낌 등을 다양하게 느낄 수 있다.   

대전을지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정성훈 교수는 "잦은 발작을 막기 위해서는 초기에 반드시 약물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우울증 약제나 신경안정제 계통이 공황발작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적어도 매주 한 번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면 약을 먹어야 한다. 발작의 횟수가 줄어들어 한 달에 한 번 있을까 말까한 정도가 되면, 매일 약을 먹는 것이 아니라 필요시에만 먹는 식으로 횟수를 줄여나간다.

상당수 환자들은 공황발작이 나타나지 않아도 두려움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밀폐된 공간이나 사람이 많은 곳에서 발작이 처음 시작된 경우가 많은데, 다시는 그런 곳에 가지 못하는 식이다. 이럴 땐 기약 없이 약물치료를 지속하기도 한다. 약물치료를 하는 도중에는 계속해서 두려워하는 상황을 접해보는 게 도움이 된다. 정 교수는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중이라서 전처럼 심한 발작이 나타나진 않는다"며 "이를 견뎌내지 못하면 평생 극복하기 어려워지므로 약물의 도움을 받아 치료를 진행하라"고 말했다.

정성훈 교수는 "최근 공황장애 환자들은 대부분 젊은 청년들인데, 사람들과 맞부딪혀 스스로를 단련시킬 기회를 잃으면서 공황장애를 더 잘 겪는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 공황장애 환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불안 자체를 두려워하지 말고, 불안이 사람을 죽게 하지 않는다는 걸 염두하고 극복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