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문가 ‘방사성 오염수 방류와 수산물 안전’ 포럼서 발표

일본이 2023년부터 30년에 걸쳐 일본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를 결정함에 따라, 국민들의 수산물 안전에 대한 걱정이 크다. 벌써 수산물을 먹지 않겠다는 사람도 있다. 일본 오염수 방출이 국민 식생활 안전에 불안을 일으키는 상황에서, 국민생활과학자문단이 24일 ‘방사성 오염수 방류와 수산물 안전’을 주제로 포럼을 열고, 유튜브 생중계했다. 국민생활과학자문단 먹거리안전분과 김건희 위원장은 "방사성 오염수 방출 후 수산물을 섭취해도 되느냐에 대한 국민 불안과 의문들이 있다"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정보 전달과 과학적인 소통이 중요해 관련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포럼을 열게 됐다"고 말했다. 실제 한국소비자연맹 2020년 설문 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이 식품 유해인자로 인식하는 것 중 '방사능 오염 식품'이 79.1%로 압도적인 1위였다.




이미지
​‘방사성 오염수 방류와 수산물 안전’ 포럼 내용 발췌/​‘방사성 오염수 방류와 수산물 안전’ 포럼

◇"이른 시간 한국해 유입 가능성 거의 없다"
부경대 해양학과 김영호 교수는 주제 발표에서 ‘일본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가 해류를 통해 한반도 근해로 직접 유입될 것인가?’라는 의문에 "가능성이 미미하다”고 대답했다. 일본과 한반도 주변에 해류를 살펴보면 ‘쿠로시오 해류’가 강하게 작용한다.<사진1> 쿠로시오 해류에 따라 바닷물은 일본 후쿠시마 남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며 북아메리카를 거쳐 북적도해를 돌아서 5년 후에나 한반도로 유입될 것이라고 관측됐다. 그렇다면 5년 후 한국 앞바다로 온 방사성 오염수의 농도는 어떨까? 김영호 교수는 “계산식에 따르면 일본에서 처음 오염수를 방출했을 때 농도의 100만분의 1의 농도로 우리나라로 유입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에서 방출된 오염수가 역류해 한국 앞바다로 올 수 있지 않을까? 김 교수는 “일본 오염수가 해류와 달리 역류해서 한국으로 이른 시간에 고농도로 유입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인체 영향은 미미"
5년이 지난 후에라도 일본 방사능 오염수는 한국 앞바다에 온다. 방사성 물질이 남아 어류에 축적되고 이를 섭취하면 국민들은 방사성 피폭이 되는 건 아닌지 의문이 든다.

한국원자력의학원 진영우 특임의사(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는 "방사성 물질이 있다, 없다 보다 얼마나 많은 양이 있느냐가 관건”이라며 “또 얼마나 짧은 기간에 노출되는지에 대한 것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에 따르면 한 번에 500mSv의 방사선을 맞지 않는 한 인체 이상 반응은 거의 없다. 일반인의 연간 허용 방사선량은 1mSv다.<사진2>




이미지
​‘방사성 오염수 방류와 수산물 안전’ 포럼 내용 발췌/​‘방사성 오염수 방류와 수산물 안전’ 포럼

실제 자연에서도 방사선 노출은 지속적으로 되고 있는데, 우주에서 연평균 0.35mSv, 화강암 지대 등 땅에서 연평균 0.4mSv, 칼륨 등이 포함된 음식물에서 연평균 0.35mSv, 공기 중 라돈에서 1.3mSv가 노출된다. 진영우 특임의사는 “자연 방사선은 전세계적으로 연평균 2.4 mSv, 한국은 3~4mSv에 노출된다”고 말했다.

인공 방사선 노출도 있다. 일례로 흉부 X선 촬영을 하면 0.05mSv 방사선에 노출된다. 방사선 작업자의 연간 허용 선량은 20mSv에 달하며 일반인보다 훨씬 높다.<사진3>




이미지
​‘방사성 오염수 방류와 수산물 안전’ 포럼 내용 발췌/​‘방사성 오염수 방류와 수산물 안전’ 포럼

진영우 특임의사는 “한 번에 500mSv의 방사선에 노출되지 않는 한 인체 영향은 미미하므로, 방사능 걱정 때문에 수산물 피한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국내 식품 방사능 기준 엄격"
한편, 현재 일본에서 들어오는 모든 식품은 방사능 검사를 한다. 대구대 식품공학과 임무혁 교수는 “전세계에서 엄격한 기준인 편”이라고 말했다. 모든 수산물과 그 가공품에 대해서도 원산지 표시 제도를 적용하고 있다. 음식점에서는 넙치, 조피볼락 등 12종 수산물, 수족관에 보관하는 모든 살아있는 수산물에 대해 메뉴판 등에 원산지를 표시해야 한다. 일본에서 들어온 수산물이 찝찝하다면 소비자가 선택을 피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 그러나 이에 대해 한국소비자연맹 이향기 부회장은 “실제 원산지 표시를 해야 하는 점주들이 표시대상 등에 대해서 잘 몰라 미표시율이 상당히 높다”며 “멍게 등 원산지 표시 대상에서 빠져 있는 수산물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