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트니스

코어근육 대표 운동 '스쿼트'… 오히려 毒 되는 사람은?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스쿼트 동작은 하체와 코어 근육을 단련하는 대표적인 운동법이다. 그런데 스쿼트 동작을 하면 오히려 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무릎관절염이 있는 사람이다.

스쿼트 동작은 무릎 관절 근처의 인대·근육은 강화시키지만 관절 사이에 있는 '반월상 연골판'에는 부담을 준다. 스쿼트를 할 때는 무릎을 90도로 크게 굽혔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는데, 이때 무릎에 있는 연골인 '반월상연골판'에 하중이 실려 눌린다. 무릎관절염이 심한 사람은 연골판이 약해진 상태라서, 반복적으로 하중이 가해지면 오히려 손상 위험이 있다. 무릎관절염이 심하다면 스쿼트를 안 하는 게 좋고, 하더라도 무릎을 45도만 굽히는 미니 스쿼트를 하는 게 연골판 부담 적다.

치질이 있는 사람도 스쿼트를 할 때 조심해야 한다. 스쿼트를 할 때는 배와 다리, 엉덩이에 힘을 주고 앉았다 일어한다. 이때 복압이 높아져 항문 주위 혈관 압력도 증가한다. 치질 증상이 악화될 수 있는 것이다. 스쿼트와 같이 힘을 쓰는 근육운동을 한 후 치핵이 튀어나오거나 혈변을 보는 등 증상이 심해지는 치질 환자가 종종 있다. 항문 주위 혈관이 늘어지고 약해진 치질 환자는 스쿼트 대신 걷기나 가볍게 뛰기 등의 운동이 낫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