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컴퓨터 앞에 앉아 있다면, ‘손목 풀기 운동’ 필수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손목터널증후군은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예방이 가능하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온택트 시대가 열리면서 손가락이 저리고 손목이 시큰거리는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었다. 손목터널증후군(수근관증후군)일 수 있다. 손목터널증후군은 과도한 손목 사용으로 손목 내부 통로인 손목터널(수근관)이 좁아지거나 압력이 증가하면서 신경이 눌려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컴퓨터 앞에 장기간 앉아있는 사람에게 흔하게 발병한다.

손목터널증후군 초기에는 손가락과 손목이 저린 정도로 시작된다. 증세가 악화하면 문고리를 돌리거나 젓가락질을 하는 등 사소한 일상생활에도 불편함을 겪게 된다. 밤새 통증이 이어지면 잠을 설치기도 한다.

자신에게 손목터널증후군이 있는지는 ‘팔렌 검사’와 ‘티넬 검사’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먼저 팔렌 검사는 양쪽 손등을 아래로 90도 꺾은 뒤 맞닿아 1분 정도 유지해보면 된다. 엄지부터 약지까지 저리거나 통증이 느껴진다면 손목터널증후군을 의심해봐야 한다. 티넬 검사는 손목에 있는 큰 힘줄 사이 부분을 지그시 누르거나 툭 치면 된다. 저림과 통증이 느껴지면 마찬가지로 손목터널증후군일 수 있다. 힘줄이 어디 있는지 모르겠다면 엄지와 검지를 맞대고 손목을 살짝 구부려보면 찾기 쉽다. 두 검사에서 모두 저림과 통증이 느껴졌다면 손목터널증후군일 확률이 높다. 팔꿈치터널증후군이나 목디스크 등도 손 저림 증상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받고 치료 과정에 들어가는 게 바람직하다. 발병 초기에는 야간 부목, 약물치료, 주사치료 등의 보전적 치료로 증상이 나을 수 있다. 보전적 치료로도 증상이 사라지지 않거나 악화하면 수근관을 넓히는 수술이 필요하다.

손목터널증후군을 예방하고 싶다면 마우스 사용할 때 쓰는 손목 쿠션을 구비하고, 손목 긴장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을 하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보통 마우스를 잡을 때 손목을 바닥에 댄 채로 약 30도 정도 손목을 위로 꺾게 되는데, 이때 손목이 눌리면서 손목터널 압력도 자연스럽게 높아져 신경을 누를 확률이 커진다. 따라서 손목을 받쳐 손목 각도를 낮춰주는 손목 쿠션을 쓰면 손목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손목 긴장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으로는 손목을 위, 아래로 당기고, 좌, 우로 돌려 당기는 방법이 있다. 먼저 한쪽 팔을 쭉 앞으로 뻗는다. 이때 손은 손바닥이 밖을 향하도록 아래로 90도 꺾는다. 반대 손으로 뻗은 팔을 잡고 몸쪽으로 가볍게 10초간 당긴다. 뻗은 손의 손등을 잡고 아래쪽으로 가볍게 10초간 당긴다. 양손 모두 3회씩 반복한다. 이때 통증이 있으면 무리가 갈 수 있기에 주의해야 한다. 다시 손바닥을 밖을 향하도록 아래로 90도 꺾으며 한쪽 팔을 뻗는다. 반대 손으로 뻗은 팔의 손가락을 잡고 왼쪽으로 90도 돌려 당긴다. 10초 유지한 후, 팔을 풀고 반대 방향으로 270도 돌려 당긴다. 10초 유지한다. 마찬가지로 양손 모두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3회씩 반복하면 된다.




占싼딅뮞鈺곌퀣苑� 占쎌뮆�э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