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년 여성이 소변이 마려울 때마다 방광·골반이 아프고 화장실에 가는 빈도가 잦아졌다면 '간질성방광염'을 한 번쯤 의심해봐야 한다.
간질성방광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만성적 방광염증질환이다. 다른 말로 방광통증증후군이라고도 하는데, 방광과 관련된 다른 질환 없이 소변이 찼을 때 하복부나 회음부에 압박감 혹은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에 진단된다. 즉, 골반통과 방광 부위 압박감이 주된 증상이다. 더불어 절박뇨, 빈뇨 등을 한 가지 이상 동반한다.
간질성방광염은 급성방광염처럼, 여타의 감염 질환 없이 방광의 점막이 파괴되거나 기능이 약해져 감각 변형, 기능 용적 감소가 일어난다. 성행위 때문에 증상이 더 심해지기도 하며 여성의 경우 생리할 때 악화되기도 한다. 간질성방광염의 정확한 발병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성별에 관계없이 증상이 나타나지만 남자보다는 여자에게서 많이 발병해 환자의 90%가 여성이다. 특히 중년 여성에게서 자주 발병한다.
간질성방광염이 있으면 소변이 자주 마려워 과민성방광증후군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간질성방광염은 방광에 소변이 차는 경우 치골 상부에 통증이 발생하는 특징이 있어 과민성방관증후군과는 차이가 있다. 소변을 볼 때는 직접적인 통증이 없지만 소변이 방광에 들어차면 그때부터 통증이 발생하고 소변을 보고 난 후에는 통증이 사라진다.
간질성방광염을 진단할 때는 통증의 양상, 지속시간, 위치, 특이사항, 변비 유무, 배뇨 증상 등을 청취한 뒤 소변 검사 및 소변 세균 검사, 요속 검사, 배뇨 후 잔뇨 검사, 요도방광내시경, 조직 검사를 시행한다.
간질성방광염은 호전과 악화가 반복되므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치료는 증상 개선을 목표로 한다. 비수술적 치료 방법으로는 행동치료, 식이조절, 약물치료, 방광내 약물주입, 천수신경조정술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수술적 치료방법으로는 방광수압확장술, 궤양소작술, 방광성형술, 방광절제술 등을 시행한다.
간질성방광염 환자는 무엇보다 생활습관을 개선해야 한다. 이뇨작용을 하는 알코올, 인공감미료, 카페인, 탄산음료 등의 섭취를 제한하고 짜고 매운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