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간 섬유화는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인 간경변의 이전 단계로, 조기발견이 중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건강검진자 10명 중 1명은 간이 딱딱해지는 간 섬유화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간 섬유화는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인 간경변의 이전 단계로, 조기발견이 중요하다.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연구소 나은희 소장 연구팀은 2018년 1월부터 2020년 6월까지 건협 13개 건강검진센터에서 간 자기공명탄성영상(MRE)검사를 포함한 건강검진을 받은 검진자 8183명을 대상으로 간 자기공명탄성영상(MRE) 검사를 시행한 결과, 대상자 중 9.5%가 초기 간섬유화 이상이었다. 특히 이중 2.6%는 진행된 간섬유화로 조사됐다.

또한 초기 간 섬유화의 위험인자로는 연령 증가, 남성, 제2형 당뇨병, B형 간염 보균자, 간기능 이상, 비만, 대사증후군 등으로 나타났다.

나은희 건강증진연구소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현재 증상을 보이지 않는 지역사회 주민 10명 중 1명은 초기 단계 이상의 간 섬유화로 나타났다”며 “지역사회에서 간 섬유화의 진행 및 이와 관련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현재 증상은 없지만 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는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간 섬유화 스크리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의 일반인구집단에서 간 섬유화 유병률과 관련 위험인자'라는 제목으로 SCIE급 학술저널 BMJ Open 최근호에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