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

피부과 의사는 여드름 안 짠다? 진실은…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낭포에 고름이 있는 화농성 여드름이나 딱딱한 결절이 있는 여드름은 짜면 안 된다.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여드름을 함부로 짜면 해당 부위가 감염되거나 색소침착·흉터가 생길 수 있다. 그래서 피부과 의사는 여드름을 안 짠다는 소문도 있다. 여드름은 짜야 될까, 말아야 될까? 짜도 되는 여드름과 짜면 안 되는 여드름이 따로 있다.

◇짜도 되는 여드름
염증없이 피지로만 채워진 '개방성 여드름'은 짜도 된다. 방법은 먼저 스팀타월로 모공을 충분히 열어준다. 그 후 약국에서 판매하는 소독된 일회용 바늘이나 청결한 면봉을 사용해 피지를 짜주면 된다. 짤 때는 맑은 진물이 나올 때까지 낭포 속 피지를 완전히 제거해줘야 재발을 막을 수 있다. 여드름이 곪아 자연적으로 터진 경우에는 수렴성 화장수 등으로 환부를 깨끗이 닦아내고, 해당 부위가 세균에 감염되지 않도록 청결을 유지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짜면 안 되는 여드름
낭포에 고름이 있는 화농성 여드름이나 딱딱한 결절이 있는 여드름은 짜면 안 된다. 이런 여드름을 잘못 건드리면 오히려 염증과 농이 심해지면서 증상이 악화된. 특히 손이나 비위생적인 도구를 사용해 함부로 짜면 세균 감염이나 염증 증상이 심해지면서 색소침착이나 흉터를 남길 수도 있다. 환부에 손대지 말고 염증이 가라앉길 기다린다. 이 때 여드름 전용 비누를 이용해 청결하게 하고, 화장품을 이용해 피부를 진정시킨다.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티트리 용액을 바르는 것도 도움이 된다. 다만 여드름균이 번져 염증이 가라앉지 않고 악화된다면 피부과에가서 적합한 여드름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