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백내장 수술 후유증… 참지 말고 ‘재수술’ 신중히 고려를"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전문의에게 묻다] 센트럴서울안과 황종욱 원장

우리나라 사람이 가장 많이 받는 수술은 ‘백내장 수술’이다. 2019년에만 68만 9919건이 이뤄졌다. 심지어 매해 증가하는 추세다. 그 수가 증가한 만큼 초점이 안 맞거나, 다시 앞이 뿌예지는 등 수술 후유증을 앓는 사람도 늘었다. 이 경우 재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민감한 조직인 눈을 다루는 수술인데, 재수술이 가능할까. 어렵지만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최근 글로벌 광학기업 틸리온 서지칼(Teleon Surgical B.V)사로부터 백내장 재수술로 ‘시력복원 전문가’ 인증패를 받은 센트럴서울안과 황종욱 원장을 만나 백내장 재수술법에 대해 들었다.




이미지

센트럴서울안과 황종욱 원장/사진=헬스조선 신지호 기자

Q. 백내장 재수술이란.
먼저 백내장 수술은 카메라의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하는 우리 눈 속 조직인 수정체가 뿌옇게 혼탁이 왔을 때 새로운 인공 수정체(렌즈)로 바꿔주는 수술이다. 각막에 작은 절개창을 만들고 기구를 넣어 뿌연 수정체는 제거하고 인공 수정체를 넣는다.

백내장 재수술은 첫 번째 수술 후 인공 수정체에 문제가 왔거나, 합병증이 생겼거나 등의 이유로 다시 인공수정체를 교환하는 수술이다.

Q. 백내장 재수술을 받는 경우가 많은가.
백내장 수술이 많은 발전이 있었기 때문에 합병증 등으로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지는 않다. 다만, 백내장 수술을 받는 사람이 워낙 많아 후유증을 겪는 환자가 늘었고, 인공 수정체 교환이 불가능했던 경우도 수술로 치료할 수 있어져 백내장 재수술을 받는 환자 수가 늘고 있다.




이미지

센트럴서울안과 황종욱 원장/사진=헬스조선 신지호 기자

Q. 재수술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어떤 게 있는가.
먼저, 사람마다 다른 눈 구조로 목표와 다른 결과가 나오는 경우다. 백내장 수술 전 장비로 계측을 해 목표 도수 값이 나올 수 있는 인공 수정체 위치를 정한다. 하지만, 눈 구조가 사람마다 다르므로 계획했던 도수대로 나오지 않을 수 있다. 인공 수정체 위치가 1mm만 달라져도 안경 도수로는 8~9칸 차이가 난다. 원거리가 잘 보이는 것을 목표로 수술을 했는데, 근거리가 잘 보이고 원거리가 안 보이는 등 굴절 오차도 있을 수 있다. 아주 드물게 인공 수정체 위치가 정확하게 시축에 맞춰지지 않고 틀어졌을 때도 초점이 안 맞거나, 도수가 낮거나, 굴절 오차가 나타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환자가 삽입한 인공 수정체에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다. 예전에는 인공 수정체로 단순한 구조인 단초점 렌즈만 사용했다. 최근에는 노안도 동시에 교정하는 등 안경 의존성을 낮추기 위해 나온 다초점 렌즈를 쓰는 경우가 많다. 이 렌즈 안에는 가까이 볼 수 있게 빛이 굴절되는 부분과 멀리 볼 수 있게 하는 부분이 나뉘어 있어 경계에서 빛이 번지거나 손실될 수 있다. 이런 불편함 때문에 다시 단초점 렌즈로 바꾸거나, 다른 다초점 렌즈로 바꾸기 위해 재수술을 받을 수 있다.

드물게 인공 수정체가 혼탁해질 수도 있다. 인공적인 물질이기 때문에 영원히 투명도를 유지하는 못할 수 있는 것. 마치 처음 백내장이 왔던 것처럼 뿌옇게 보인다면 교환해줘야 한다. 인체 내에서 장기적으로 사용하면 몸속 칼슘 등 전해질이 침착되면서 투명도가 떨어지는 것이다. 사람 개개인의 특이성 때문에 생긴다.

눈 속 수정체를 고정해주는 끈인 모양체 소대가 약해지거나 끊어져도 재수술을 받아야 한다. 인공수정체가 기울거나 심하면 눈 뒤쪽으로 빠질 수 있다. 그런 경우 다시 올려서 고정해줘야 한다. 모양체 소대는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약해질 수도 있고, 외부 강한 충격으로 끊어질 수도 있다.




이미지

센트럴서울안과 황종욱 원장/사진=헬스조선 신지호 기자

Q. 구체적으로 수술이 어떻게 이뤄지는가.
사람마다 다르다. 렌즈만 교체하면 되는 경우, 유리체 절제술을 해야 하는 경우, 인공 수정체 공막 고정술을 해야 하는 경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원래 본인의 수정체는 투명한 낭에 쌓여있다. 인공수정체는 수정체낭 앞쪽을 동그랗게 절개해서 뿌연 백내장 물질을 제거한 뒤 넣는 것이다. 렌즈만 교체해도 되면 수정체낭에서 기존에 들어있던 인공수정체를 빼내고 다른 인공 수정체로 교환하면 된다.

한 가지 변수로 백내장 수술 후 시간이 지나면서 자기 상피 세포가 자라 수정체낭이 뿌예질 수 있다. 후발 백내장이라고 하는데, 해결하기 위해 레이저 치료를 한다. 이때 수정체낭 뒤쪽에 구멍을 뚫는다. 이렇게 수정체낭 앞, 뒤쪽 뚜껑이 모두 없다면 수정체 뒤에 위치한 유리체 때문에 인공 수정체를 제 위치에 넣기 힘들어진다. 이 경우 유리체를 제거하는 유리체 절제술 후 백내장 재수술을 해야 한다.

모양체 소대가 끊어지거나 약할 때는 재수술 시 스트레스가 가중될 수밖에 없다. 모양체 소대는 회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공막에 인공 수정체를 직접 꿰매는 인공 수정체 공막 고정술을 해야 한다.

Q. 재수술 경우마다 걸리는 시간도 다를 것 같은데.
환자마다 다르다. 유리체 절제술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에 렌즈를 제거하고 수월하게 한다면 30분 이내에도 수술을 완료할 수 있다. 유리체 절제술을 하고, 원래 위치에 렌즈를 넣는다면 1시간 정도다. 유리체 절제술도 하고 인공 수정체 공막 고정술도 하면 1시간 이상 걸린다.

Q. 재수술을 할 수 있는 시기가 따로 있는지.
수술 후에 홍채 가루, 수정체 조각 등이 남아 우리 몸의 면역 작용에 의해 깨끗하게 없어질 때까지는 안약을 잘 넣으면서 기다려야 한다. 한 달에서 두 달 정도는 지나야 충분히 안정돼  재수술이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백내장 수술을 한 지 오래되면 인공 렌즈와 수정체낭이 눌어붙을 수 있다. 이때 재수술하려면 껍질과 인공수정체를 분리한 뒤, 다시 새 인공수정체를 넣어야 한다. 대부분은 분리가 되지만 유착이 심하게 된 경우에는 재수술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너무 빨리 판단해서 재수술하는 것은 바라지 않지만, 정말 불편하고 두고 봐도 앞으로 개선 가능성이 없다면 어느 정도 이른 시기에 하는 게 좋다.




이미지

센트럴서울안과 황종욱 원장/사진=헬스조선 신지호 기자

Q. 재수술 후유증은 있는지.
재수술하는 대부분 환자가 망막 수술인 유리체 절제술을 한다. 후발 백내장으로 수정체낭 뒤쪽이 뚫려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후유증이 아예 없다고 할 순 없다. 환자의 컨디션이 가장 중요한데, 건강한 눈이고 다른 문제가 없다면 대체로 큰 부작용은 없다.

Q. 재수술 여러 번 받는 것도 가능한가.
가능은 하다. 하지만, 눈은 계속해서 수술이 가능한 조직이 아니다. 특히 각막 내피세포는 재생이 되는 조직이 아니라서 수술을 할수록 일정 부분 손실이 된다. 내피세포 밀도가 떨어지면 각막이식이 필요해질 수도 있다. 수술 전에 각막 내피세포 밀도 등 충분한 검사를 하고 수술을 결정해야 한다.

Q. 수술 후에는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
눈이 잘 나을 수 있도록 염증 반응을 없애기 위한 항생제, 소염제 안약을 제때 잘 넣어주는 게 중요하다. 안약 성분 자체는 일반적인 망막 수술에 준해서 생각하면 된다. 인공 수정체를 꿰맸다면 충격에 주의해야 한다. 꿰맨 실이 끊어지면 렌즈가 틀어지기 때문에 눈을 비비거나 외부 충격 조심해야 한다.

Q. 마지막으로 백내장 재수술을 고민하는 환자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백내장 재수술은 가볍게 생각할 수술이 아니다. 하지만 정말로 불편한 경우에는 무조건 피할 수술도 아니다. 불편한 분이 있다면 지금은 해결할 방법이 있기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말고,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개선될 여지가 있는지 확인하면 좋을 것 같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