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 35세. 산부인과에서는 고령임신을 가르는 기준을 만 35세로 본다. 100세 시대에 35세는 아직 젊은 나이인데, 왜 '고령'이라고 할까?
이유가 있다. 여성은 어머니의 뱃속에 잉태될 때부터 일정량의 난자 개수를 보유하게 된다. 이 난자 개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줄어든다. 여성의 인생 전반에 걸쳐서 보자면, 임신 20주 태아 시절에 난자 보유량이 가장 많다. 이 때 6~7백만 개 되었다가 태어날 때가 되면 1~2백만 개로 줄어들게 된다. 생리가 시작되는 사춘기 때 30만 개로 다시 줄어들고 이후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감소하다가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 폐경 연령인 50세 무렵에는 약 1천개 미만이 남는다.
◇난자 크게 감소하는 기점 ‘35세’
강남차병원 난임센터 류상우 교수는 헬스조선 유튜브 라이브에서 "난자가 크게 감소하는 기점이 만 35세, 만 40세"라며 "평균 수명은 늘고 있지만, 여성의 폐경 나이는 평균 50세로 큰 변화가 없으므로 고령임신 기준은 달라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류 교수에 따르면 20대 초반에 난자가 가장 건강하고, 건강한 난자의 수도 많다. 건강한 아기를 임신하기 위해서는 '나이'가 중요하다. 만 35세 이후에는 난자의 질도 떨어지고 임신율도 떨어진다. 전문가들은 난임 인구가 늘어나는 이유로 ‘늦은 결혼’을 꼽는다.
◇흡연은 난소 늙게 해
나이 외에 난자의 양과 질을 감소시키는 다른 요인이 있다. 흡연, 음주, 피임약 복용, 비타민D 감소 등이다. 류 교수는 "가장 안 좋은 것은 흡연"이라고 말했다. 그 외에도 난소 종양 수술을 받거나 기타 다른 암을 치료하기 위해 방사선치료나 항암제 치료 과정에서 난소 기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난자와 양과 질을 체크해보는 방법이 있다. 혈액검사로, 항뮐러관 호르몬 수치 검사(AMH 검사)를 통해 지금 자신의 난소에 남아 있는 난자 개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검사를 통해 난소 기능이 자신의 나이에 적합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항뮐러관 호르몬은 난포에서만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이 호르몬이 많이 분비된다는 것은 난소 안에 배란될 난포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적게 분비된다는 것은 배란될 난포가 적다는 의미다. 만약 자신의 AMH 수치가 평균보다 낮은 상태라면 또래에 비해 난자가 더 고갈되어 있다고 보면 된다. 의학적으로는 생리 초기 초음파검사를 통해 양쪽 난소의 난포 개수가 5개 미만이고, 난소나이 검사 수치가 1.2ng/ml(밀리리터당나노그램) 이하일 때 난소기능 저하로 판단한다.
류 교수는 "어머니 혹은 자매 중 조기 폐경을 겪은 가족 구성원이 있거나, 임신이 잘 안되는 사람은 한번쯤 AMH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