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귀를 아무 때나 뀔 수는 없는 노릇이다. 때문에 방귀를 참는 경우가 많은데, 너무 많이 참으면 건강에 좋지 않아 주의해야 한다.
방귀는 불필요한 체내 가스를 배출하는 자연스러운 생리현상 중 하나다. 입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장 속 내용물이 발효하면서 생긴 가스가 항문으로 빠져나가면서 발생한다. 성인의 경우 하루 평균 방귀 배출량은 200~1500mL에 이른다. 횟수로는 평균 13회에서 최대 25회까지 배출된다.
방귀를 계속 참으면 가스의 일부는 혈액에 재흡수되면서 호흡 과정에서 숨을 내쉴 때 밖으로 배출되기도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가스는 장 내에 축적돼 복부 팽만을 일으킨다. 장에 질소 가스가 쌓이면서 대장이 부풀어 오르기 때문이다. 장의 운동기능도 약해져 변비가 생기거나 복통을 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방귀는 참지 않고 배출하는 것이 건강에 좋다.
유독 방귀를 자주 뀌거나 갑자기 방귀가 잦아진 사람은 식습관을 돌이켜볼 필요가 있다. 양배추, 콩, 브로콜리와 같이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를 한 번에 많이 먹으면 배에 가스가 잘 찬다. 과도한 식이섬유가 가스를 잘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과식도 위장에 부담을 주고, 소화 시간을 길게 해 복부팽만을 유발한다. 몸을 잘 움직이지 않는 것도 원인이 된다. 한자리에 오래 앉아 있거나 오래 누워 있으면 위장 운동이 저하되면서 가스가 잘 찬다. 생활습관을 개선해도 증상이 심하면 과민성장증후군이나 소화기질환이 원인일 수 있어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