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눈뜰 때마다 통증 느껴지면… '각막' 벗겨졌을 수도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아침에 눈뜰 때마다 눈에 극심한 통증이 느껴지면 단순 안구건조증이 아닌 재발성각막상피미란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아침에 눈뜰 때마다 뻑뻑함, 따가움을 비롯해 찢어지는 듯한 통증이 느껴진다면, 단순 안구건조증이 아닌 '재발성각막상피미란'을 의심해봐야 한다.

재발성각막상피미란은 '반복각막짓무름'이라고도 불리는 병으로, 주로 손톱, 종이, 나뭇가지에 긁혀 벗겨진 각막상피가 제대로 각막기질에 붙지 못하고 계속해서 벗겨지는 질환이다. 눈썹 찔림, 각막상피세포 유전이상, 당뇨병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재발성각막상피미란이 발생하면 통증, 눈물흘림, 눈부심, 이물감 등이 생길 수 있다. 김안과병원 각막센터 김국영 전문의는 "자주 재발하기 때문에 한 번 걸린 환자는 잠자는 것을 두려워하는 정도의 불안감까지 가질 수 있다"며 "그뿐 아니라 눈을 비비거나 아침에 눈을 뜨는 것과 같은 약한 자극에도 쉽게 각막이 벗겨지며 일상생활에 큰 고통을 준다"고 말했다. 눈이 감염에 취약해지기도 한다. 각막의 제일 바깥쪽에 위치한 각막상피는 눈을 보호하는 1차 방어선의 역할을 하는데 각막상피가 벗겨지면 세균, 바이러스 등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이다.

아침에 눈의 이상 증상을 느껴도 낮에는 증상이 완화돼 병원을 찾지 않고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있지만, 조기 치료를 위해 반드시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재발성각막상피미란이 발생했더라도 심한 각막염이 동반되지 않았다면 모든 환자에게 일차적으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다. 인공누액, 치료용 콘택트렌즈 착용, 압박안대, 안연고 사용 등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식이다. 치료용 콘택트렌즈의 경우 렌즈 착용 자체가 감염을 유발해 각막염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인자이기 때문에 점안 항생제를 함께 사용한다.

이러한 보존적 치료에도 효과가 없으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수술적 치료에는 표층각막절제술, 주삿바늘로 각막 표면을 찌르는 전부(前部)기질천자술, 엑시머레이저를 이용한 치료레이저각막절제술 등이 있다. 이 중 각막을 절제하는 병변 부위가 국소적인 표층각막절제술이나 주삿바늘을 이용하는 전부기질천자술은 큰 부담 없이 시행할 수 있다. 여러 치료과정을 거쳤음에도 자주 재발하면 치료레이저각막절제술을 고려한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