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몸이 피곤하면 호르몬 변화로 인해 혈관이 잘 터지고 코안에 염증이 생겨 코피가 잘 나게 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밤새 시험공부를 하거나 무리해서 일한 날엔 코피를 흘리는 경우가 있다. 피곤하면 왜 코피가 날까?

‘혈압’과 관련 있다. 흔히 코피가 나는 부위는 코 입구 쪽(키셀바하 부위)인데, 여기에는 콧속으로 들어오는 여러 혈관들이 모여있다. 이 부위는 직접적인 외상이 아니더라도 피로·점막 염증 등으로 인해 출혈이 생길 수 있다. 피곤하면 신체 리듬과 호르몬에 변화가 생겨 혈관이 수축하고 혈압이 오른다. 그러면 혈관이 터지면서 코피가 나기 쉬워지는 것이다. 실제로 코피는 아침에 많이 나고 밤에 적게 나는데, 아침에 혈압이 가장 높고 밤에는 낮은 것과 관련 있다. 또한 몸이 피곤하면 코의 혈관이 잘 부풀고 코점막에 염증이 생겨 코피가 더 쉽게 난다. 수면 부족과 스트레스도 원인이 된다. 몸의 기능이 저하돼 코안이 건조해지기 때문이다. 점막이 건조해지면 혈관이 쉽게 손상을 받아 큰 자극 없이도 출혈이 생긴다.

코피가 나면 피가 코 뒤로 넘어가지 않게 목을 약간 앞쪽으로 숙여 지혈해야 한다. 이 상태에서 양 콧방울을 동시에 잡아 세게 누르며 출혈 부위를 10~15분 압박한다. 휴지나 솜으로 코를 세게 틀어막으면 점막을 더 손상시킬 수 있어 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