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

출산 후 탈모 방지 TIP… 머리 감기 전 '이렇게'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출산한 여성의 3분의 1은 탈모를 겪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오는 10일은 '임산부의 날'이다. 여성은 출산 후 '탈모' 걱정에 스트레스받는 경우가 많다. 출한 후 탈모는 왜 생기는 것이고,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

여성호르몬 줄어들며 머리 빠져
출산 후 탈모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여성호르몬의 감소다. 태반에서 분비되는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 수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임신 기간에는 오히려 이전보다 머리카락이 빠지지 않는다. 통상 하루 약 100개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정상으로 보지만, 임신 중에는 하루 5~10개의 머리카락만 빠진다. 대전을지대병원 피부과 이중선 교수는 "이 정도면 머리카락이 거의 빠지지 않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개인마다 차이는 있지만 산모의 3분의 1 정도가 출산 후 탈모 증상을 경험한다. 보통 출산 후 3개월부터 탈모가 시작돼 6개월까지 전체 모발의 30~40%가 빠진다. 이후 6개월부터 탈모가 자연적으로 중지되고 새로운 머리카락이 나기 시작해 9개월까지 모발이 자란다. 이후 1년이 지나면 대부분 정상 상태를 회복한다.

출산 후 1년이 지나도 정상 모발 상태로 회복되지 않고 머리카락이 계속 빠지면 '여성형 탈모'를 의심해 볼 수 있다. 탈모가 주는 스트레스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강하게 나타나 간혹 우울증이나 강박증, 심한 좌절감에 빠지기도 한다. 따라서 자연 치유되지 않을 경우 전문의의 상담을 받을 것을 권유한다.

머리 감기 전 뭉툭한 빗으로 빗어야
탈모를 예방하고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려면 머리 감기 전 끝이 뭉툭한 빗으로 가볍게 빗어주는 것이 좋다. 롤빗이나 빗살이 촘촘한 빗으로 머리를 과도하게 빗으면 오히려 머리가 더 많이 빠질 수 있어 주의한다. 눈에 띄게 탈모가 진행되고 있다면 두피에 부담이 없고 두피 불순물을 깨끗이 세정하는 효과가 있는 '탈모방지샴푸'를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머리 감을 때는 손톱을 세우기보다 손끝에 힘을 주고 마사지 하듯 두피를 닦는다. 머리를 감은 후에는 머리카락을 과도하게 문지르지 말고 수건으로 모발을 눌러가며 물기를 없앤다. 마지막으로 머리를 말릴 때 드라이기를 너무 두피에 가까이 하지 않는 게 좋다. 모공이 열리며 탈모를 일으킬 수 있다. 이중선 교수는 "드라이기를 두피에서 20cm 이상 떨어뜨려 사용하라"고 말했다.

이중선 교수는 "출산 후 육아에 집중하다 보면 하루에 머리 감기는커녕 세수 한 번 하기 힘들 정도로 정신없이 바쁘겠지만, 머리 감는 일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며 "두피에 쌓인 각종 노폐물이나 비듬, 과다지방, 박테리아 등이 탈모를 부추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적어도 이틀에 한 번은 머리를 꼭 감고, 잘 말리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스트레스로 인한 탈모도 무시할 수 없다. 특히 탈모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으면, 이로 인해 다시 탈모가 생기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어 스트레스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이 교수는 "출산 후 임신 전 체중으로 돌아가고자 무리하게 다이어트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 같은 노력이 탈모에는 독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모발 건강에 도움을 주는 성분인 단백질과 비타민, 미네랄이 많은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占싼딅뮞鈺곌퀣苑� 占쎌뮆�э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