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먹방'에 빠진 사람들이 '확찐자' 되는 과학적 이유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먹방이나 SNS상에서 음식 사진만 자주 봐도 비만을 유발하고, 지속적인 뇌 자극으로 중독을 유발, 비만이 악화될 수 있다.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육즙이 가득한 스테이크, 매콤달콤한 떡볶이, 조미료맛 '풍부한' 라면, 바삭한 치킨…

보기만 해도 군침 도는 음식들이다.  코로나19로 '집콕' 하다보면 의외의 복병이 '먹방(먹는 방송)'이다. 요즘에는 유튜브나 SNS를 통해서 쉽게 음식 영상과 사진을 접하게 된다.  유튜브에서는 먹는 영상과 함께 술도 곁들이는데, 이런 이미지들은 식욕과 음주 욕구를 자극한다.

먹방이 뇌 자극… 비만 유발
먹방이나 SNS상에서 음식 사진만 자주 봐도 비만을 유발하고, 지속적인 뇌 자극으로 중독을 유발, 비만이 악화될 수 있다. 영상이나 음식 사진을 계속 보면 위(胃) 에서 나오는 식욕 촉진 호르몬인 그렐린이 과다 분출된다. 그렐린에 반응하는 뇌 궁상핵 부위가 자극돼 계속 허기짐이 생기고, 이 상태에서 음식을 먹으면 과식하게 된다.

실제 영국 옥스포드대학 연구팀이  '두뇌와 인지'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방송에 등장하는 음식이 두뇌를 자극해 보는 것만으로도 비만을 증폭시킨다. 가천대 뇌과학연구원 서유헌 원장은 "음식 사진이나, 먹는 모습을 계속해서 보게 되면 식욕을 촉진하는 뇌 부위가 자극되고 활성화되면서 결국엔 먹어야만 한다는 스트레스까지 유발한다"고 말했다.

먹방이 중독까지 유발
먹방도 중독된다. 음식 사진이나 영상을 계속 보면 뇌 시상하부가 자극돼 음식 사진이나 영상을보지 않으면 불안해지는 약물 중독이나 알코올 중독같은 상태에 놓일 수 있다. 그래서 음식 사진이나 영상이 욕망의 대상이 된다고 해 '푸드 포르노'라고 부르기도 한다. 의정부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해국 교수는 "식욕을 촉진하는 그렐린에 반응하는 뇌 궁상핵 부위가 중독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뇌 시상하부와 보상회로와 가깝게 위치해 있어 중독 발생 위험이 있다"며 "자신도 모르게 먹방을 멍하니 볼 땐 방송 시청을 중단하고, 방송이나 음식 사진을 일부러 찾아서 보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嶺뚮씭�섓옙占� �곌랬�� �좎럥�삼옙占�

�좎떬�낅츩�브퀗�h땻占� �좎럩裕놅옙��쇿뜝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