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

술 먹고 필름 끊긴다? 10년 뒤 치매 걸릴 확률 '3배'

헬스조선 편집팀

이미지

술을 자주 마시고 필름이 끊긴 경험이 있는 사람은 치매에 걸릴 확률이 높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술을 마시고 한 번 이상 필름이 끊긴 경험이 있다면 약 10년 후 치매에 걸릴 위험이 2~3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연구팀은 평균 연령 43세인 영국·프랑스·스웨덴·핀란드 거주자 13만1415명을 대상으로 음주량과 음주 후 필름 끊긴 경험을 설문하고 14년 동안 치매 발생 여부를 추적 조사했다. 연구를 시작할 땐, 모두 치매에 걸리지 않은 상태였지만 14년 동안 1081명이 치매에 걸렸다.

연구 결과, 술을 마시고 필름이 끊긴 일이 1번 이상인 남성은 치매 걸릴 위험이 최대 3배, 여성은 2배 이상으로 높았다. 단, 평소 술을 잘 마시지 않다가 가끔 과음한 후 필름이 끊긴 사람은 치매 걸릴 위험이 높지 않았다. 평상시 음주량도 치매 발병 위험과 관련 있었다. 음주량이 1주일에 14유닛(unit) 이상인 사람은 그렇지 않는 사람보다 치매 발병 위험이 16%, 21유닛 이상인 사람은 22% 높았다. 술 2유닛은 알코올 도수가 낮은 맥주 500㎖ 또는 표준 잔으로 포도주 1잔을 말한다.

연구팀은 알코올이 뇌에서 독으로 작용해 뇌 신경세포들이 신호를 주고받는 통로인 시냅스를 망가뜨리면 필름이 끊기는 현상이 생긴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이 과정이 지속되면 뇌세포를 손상시키는 신경전달물질 '글루타메이트'가 많이 분비돼 치매에 걸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진행한 미카 키비마키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평소 술을 많이 마시고 필름이 끊긴 경험이 있는 사람은 치매 걸릴 위험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선 평소 필름이 끊길 때까지 과음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 심장협회 저널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최근 게재됐다.




癲ル슢��옙�볦삕�좑옙 占쎄퀗�э옙占� 占쎌쥙�ο옙�쇱삕�좑옙

占쎌쥙�э옙�낆릇占쎈툕�쀯옙節덈빝�좑옙 占쎌쥙�⑵짆�낆삕占쏙옙�용쐻�좑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