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일반

왜 햇빛만 쬐면 가려울까… 약물로 인한 '알레르기'일 수도

유대형 헬스조선 기자

혈당강하제·이뇨제 등이 유발… 복용 멈추고 전문의 상담을

햇빛 알레르기가 갑자기 생겼다면 현재 먹고 있는 약물을 살펴보자. 태양광에 노출돼 가렵고 붉어지는 햇빛 알레르기는 간혹 약물이 원인으로 나타난다.

경희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손경희 교수는 "평소에는 전혀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약물이 자외선과 상호작용하면 피부에 염증을 일으키기도 한다"며 "항정신성약, 항생제, 이뇨제를 복용하는 환자 중에서 더 빈번하게 나타나는 편"이라고 말했다.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질환은 '광독성'과 '광알레르기성' 반응으로 나뉜다. 광독성 반응은 흔히 '일광화상'이라 부르는데, 햇빛 노출 후 즉시 붉고 따가운 증상이 나타난다. 약물 등 알레르기 물질에 의한 면역반응인 광알레르기성 반응은 햇빛 노출 24~48시간 후에 가려움증과 습진 같은 증상이 생긴다. 약물을 먹으면 몸속 소화효소 등에 의해 분해·흡수된다. 이 과정에서 일부 성분이 빛에 민감한 성분으로 변한 다음, 피부 속에 머무른다. 이후 햇빛을 받으면 자외선을 흡수해 염증 물질을 만들고, 가려움증, 홍반 등 알레르기성 증상을 유발하는 것이다.

약물로 인해 햇빛 알레르기가 생겼다면 일단 약 복용을 멈춰야 한다. 이후 어떤 약이 문제를 일으켰는지 전문의에게 상담하고 약물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햇빛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약물은 혈당강하제(톨부타마이드 외), 이뇨제(클로로시아진 외), 심장약(퀴니딘), 항생제(피히오놀 외) 등 350여 종이 있다.


약물을 바꾸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자외선이 강한 오후 시간대를 피하고, 모자·긴 소매 옷 등으로 피부를 가려 햇빛으로부터 피부를 최대한 보호해야 한다. 손경희 교수는 "광알레르기성 반응은 자외선A에 의해 활성화되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효과적이다"고 말했다. 몸을 시원하게 유지하는 것도 좋다. 손 교수는 "체온이 오르면 면역반응이 심해지므로, 몸을 시원하게 만들면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