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지난달 임신 진단을 받은 유모(34)씨는 회사 업무 중 스트레스로 인한 두통을 자주 겪는다. 하지만 임신 상태에서 약물을 복용하면 아이에게 영향을 미칠까 두려워 두통약을 되도록 복용하지 않으려 노력 중이다. 하지만 고열을 동반할 때는 통증을 견디지 못하고 감기약을 복용할 수밖에 없었다.

강남차병원 산부인과 최준식 교수는​ "유씨처럼 임신 중 약물 복용에 대해 고민하는 여성들이 많다"며 "치료하지 않으면 질환이 악화돼 오히려 태아나 산모에게 안 좋을 수 있어 전문의와 상담 후 치료받는 게 안전하다"고 말했다.

임신 14주 이후부터는 약재 인한 위험 적어

북미나 우리나라의 자료를 보면 약 50% 정도만 '계획임신'을 시도한다. 이 때문에 임신 사실을 모르는 상태에서 약물을 복용한 뒤 그로 인한 기형아 출산 우려를 호소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또한 만성질환을 앓는 여성 중 상당수가 임신을 이유로 약재의 복용을 자의적으로 중단한다. 하지만 임신 중 복용하는 모든 약재가 태아 기형발생위험률을 심각하게 증가시키는 것은 아니다. 태아의 기본적인 기형발생위험률은 약 3~5%다. 최준식 교수는 "임신 제 1삼분기 이후에는 태아의 기관이 대부분 형성된 시기로, 약재의 투여가 기형발생위험률을 심각하게 증가시키지 않는다고 알려졌다"고 말했다. 따라서 이 시기 이후에는 감기 등에 걸렸다면 무조건 참기보다 전문의와의 상담해 필요한 약물을 처방받는 것이 중요하다. 최 교수는 "가령 감기의 경우 그 자체는 태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고열은 태아의 신경관 손상을 비롯한 기형 발생 및 조산 위험을 높이는 만큼 의사의 처방에 맞춰 해열제를 복용해야 한다"며 "고열이 심할 경우 아세트아미노펜 단일성분제 등을 활용하는 것이 좋으며 용량은 하루 4000mg 이상을 넘기지 않을 것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임신 중 나타나는 오심, 구토, 두통, 변비 등의 여러 신체 변화도 안전한 약물 사용을 통해 개선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만성질환자는 제2삼분기 전이라도 약재 복용

임신 제2삼분기 이전이라 하더라도 약재를 복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바로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임신부들이다. 정신질환, 당뇨병, 갑상선질환, 고혈압 및 천식 등의 만성질환을 앓는 이들은 장기간 약재를 복용한 상태이므로, 임의로 약재를 중단 하는 것은 질환을 악화시키거나 더 나쁜 산과적 예후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임신 전에 약재를 변경하는 것이 좋고, 임신 중이라도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약재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같은 성분의 약재라도 복합제제보다는 단일제제가 임신 중 태아 기형발생위험률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만성질환자들이 안전하게 임신 및 출산을 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계획임신이다. 임신 준비단계부터 전문가와 적극적인 진료와 상담을 통해 안전한 임신과 출산을 계획해야 한다. 가령 뇌전증 환자라 하더라도 산전, 임신 중 약재의 선택과 지속적인 산전관리를 통해 90% 이상 정상적인 출산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