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과

[아이 건강] 아직 너무 어린데, 충치 치료 꼭 해야 하나…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유치가 너무 일찍 손상되거나 빠져버리면​ 영구치 성장에 방해가 될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어린 아이에게 충치가 생겼을 때 부모는 치료 여부를 고민하게 된다. 유치(乳齒)가 어차피 빠질 이라는 생각에서다. 하지만 신생아 때부터 유치 관리를 소홀히 하면 튼튼한 영구치를 갖기 어렵다. 유치는 앞으로 나게 될 영구치가 자리를 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유치가 너무 일찍 손상되거나 빠져버리면 영구치가 날 자리가 막혀 덧니가 나거나 부정교합(윗니와 아랫니가 맞물리지 않는 것)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유치는 영구치보다 에나멜질이 얇아 충치가 더 잘 생기고 진행 속도도 빠르다. 따라서 아이가 아프다고 말할 정도면 이미 충치가 꽤 진행된 상태다. 아이에게 충치가 발생했을 때 치과에서는 충치가 진행되는 속도와 영구치가 나올 때까지 남은 기간을 먼저 따진 뒤 치료 여부를 결정한다.

어린이 충치가 진행되는 과정

충치균이 치아를 뚫고 들어가는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1단계 충치 예보=치아색이 탁해진다

충치가 처음 진행될 때는 치아와 잇몸이 닿는 부위가 하얗게 변하거나 자세히 봤을 때 아주 미세한 흰 반점이 생긴다. 이때부터 치과를 찾아 원인을 찾고 적극적인 예방 치료를 하면 경과가 좋다. 꼼꼼한 양치질과 올바른 식습관으로 충치 진행을 늦출 수 있다.

▷2단계 치아 착색=연갈색으로 변한다

미세한 흰 반점에 점차 음식물이나 음료수가 착색되어 연갈색을 띠기 시작한다. 자각 통증이 없는 편이지만 바로 치료하면 회복 가능한 시기다.

▷3단계 충치 경보=구멍과 통증이 생긴다

치아에 구멍이 뚫리는 시기로 시큰거리거나 통증이 시작된다. 표면의 구멍이 작다 하더라도 속으로는 넓게 퍼져 있어 정밀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씹을 때 마다 통증이 느껴진다면 충치 위험 단계에 접어든 것이다.

▷4단계 신경 위험=잇몸이 부어오른다

신경이 죽어 있는 상태로 잇몸이 부어오르고 영구치까지 영향을 끼쳐 최대한 빨리 치료가 필요하다. ​

젖병 물고 자는 아이 검진 필요

젖병을 물고 자는 습관은 이가 썩게 하는 주원인이다. 모유를 먹더라도 젖을 물고 자는 아이는 충치가 생길 수 있다. 입속에 모유나 우유가 오래 고여 있으면 설탕물에 이를 담근 채 잠드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특히 앞니로 오물오물하면서 빨아 유즙 성분이 윗입술과 이 사이에 고여 앞니를 중심으로 썩는다. 따라서 수유 후에는 물을 먹야 입안을 꼭 헹궈줘야 한다. 아이 입속을 닦거나 칫솔질 해주면 더 좋다. 무엇보다 젖병을 물고 자는 습관을 고치고 치과에서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아 그때그때 치아 상태를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

치아 홈 메우거나 불소 치료를

치아 홈 메우기는 말 그대로 어금니 표면의 가느다란 틈새와 씹는 면의 주름진 부위를 플라스틱 계통의 복합 레진으로 메우는 것이다. 치아에 세균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준다. ​아이들의 충치는 음식을 씹는 윗면 이 아니라 옆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영구치의 경우 씹는 면에 충치가 생길 확률이 90%지만 유치는 50%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유치보다 영구치 충치 예방에 좋은 방법이다.

불소 바르기도 도움이 된다. 불소는 치아 구조를 더욱 단단하게 할뿐 아니라 세균의 효소 활동을 억제해 충치가 잘 생기지 않도록 돕는다. 불소를 발라주는 치료가 특히 아이 치아에 좋은 이유는 새로 나오는 영구치의 표면(법랑질)은 아직 튼튼한 상태가 아니라 맹출 이후 상당 기간 성숙이 이루어지는데, 이 기간에 불소가 특히 잘 결합해 예방 효과가 뛰어나다.

※ 참고서적=《출동! 우리아기 홈닥터》(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지음)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