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귀여운 덧니? 잇몸뼈에 악영향… "교정치료 필요"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02/07 14:00
튀어나온 덧니를 '개성'의 일종으로 여기며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덧니도 치아 교정치료의 대상이다. 센트럴치과 강승구 원장은 "덧니는 잇몸에 칫솔이 닿는 것을 방해해 잇몸뼈가 빠르게 내려갈 수 있고, 충치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치아 맞물림에 방해를 줘 턱관절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고대인들에게는 덧니가 거의 없었다고 전해진다. 강승구 원장은 "덧니는 현대에 이르러 생기기 시작한 증상"이라며 "단단하고 질긴 음식을 먹던 인류가 가볍게 씹어도 소화가 가능한 음식을 섭취하게 된 것이 가장 큰 원인이 아닐까 한다"고 말했다. 실제 씹는 방식의 변화는 씹는 근육과 치아를 둘러싸는 잇몸뼈, 더 나아가 턱뼈 모양 자체의 변화를 유발한다. 음식물을 직접 씹는 치아와 잇몸뼈에는 변화가 더 크다. 잇몸뼈가 줄면서 치아 개수가 줄거나 작아지는 변화가 나타나는데, 잇몸뼈가 특히 더 빨리 줄어드는 반면 치아 개수가 함께 줄지 않아 생기는 것이 '덧니'다.
덧니가 심할 경우 인위적으로 치아를 뽑고 그 공간으로 덧니를 옮기는 '발치교정'이 필요할 수 있다.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치아 사이를 갈아 공간을 만들어 배열하는 치료를 한다. 잇몸뼈가 비교적 충분한 경우에는 어금니를 뒤로 보내고 전체 치아를 확장시키거나 뒤로 보내 이를 뽑지 않고 교정하는 법도 있다. 강 원장은 "최근에는 교정치료 기술이 많이 발달해, 비교적 심한 정도의 덧니도 이를 뽑지 않고 치료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강승구 원장은 "특히 최근 발달한 교정장치와 더불어 RS급속교정과 같은 치료법을 통해 예전보다 많은 경우를 비발치로 치료할 수 있게 됐고, 발치교정을 하더라도 치료기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고 말했다. RS급속교정은 AEL교정을 통해 빠르게 치열을 정리, 치아의 상태를 개선한 후 리버스슬라이딩시스템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AEL교정은 바르지 못한 치아를 치열 확장과 더불어 어금니 후방 이동을 통해 스크류 없이 진행하는 치료법 중 하나다. 리버스슬라이딩시스템은 치아 뒤로 철사가 튀어나오는 기존 치아교정 방식을 개선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