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절질환

허리냐 고관절이냐… 원인 다양한 엉치 통증, 협진으로 정확히 진단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엉치 통증 증상과 치료

신경 자극하는 허리 통증, 엉치까지 영향
고관절 질환, 휴식·약물로 증상 호전 가능
비수술 치료법 '풍선확장술' 효과 입증돼

이미지

중장년층이 흔히 호소하는 엉치통증은 허리, 고관절 문제 등 원인 질환이 다양하다. 정확한 진단이 선행되지 않으면 병을 키울 수 있다. /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앉았다 일어설 때 엉치가 뻐근하고 당기는 느낌' '엉덩이 부위에 콕콕 찌르는 듯한 통증' '허리 아래쪽으로 저린 느낌' '걸을 때 엉덩이 부위가 걸리는 듯한 통증'….

모두 엉덩이가 아픈 엉치 통증의 다양한 증상을 설명하는 말이다. 엉치 통증은 중장년층이 흔히 호소하는 증상이다. 원인은 다양하다. 허리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 같은 허리 질환, 관절와순 파열 같은 고관절 질환이 대표적이다. 정확한 진단이 선행되지 않으면 병을 키울 수 있다.

◇신경 압박으로 엉치 통증 유발, 허리 질환

엉치 통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허리 질환은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이다. 허리디스크는 척추 뼈 사이의 수핵이 빠져나와 신경을 자극,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척추관협착증은 노화로 인해 척추 주변의 인대와 돌기 등이 두꺼워지면서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져 신경을 압박, 통증과 저림 등의 증상이 생기는 질환이다.

허리디스크는 수핵이 엉덩이로 내려가는 신경을 압박하면 엉치 통증을 유발한다.

척추관협착증 역시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들이 자극을 받아 허리와 엉치에 통증을 일으킨다. 걷기가 힘들 정도로 엉덩이 밑으로 저리고 당기는 증상이 나타난다.

연세바른병원 신경외과 이정훈 원장은 "허리는 하반신으로 내려가는 신경이 지나는 길이기 때문에 모든 허리 질환이 엉치 통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며 "증상만으로는 100% 감별진단이 어려우므로 정밀검사를 통해 통증의 원인 부위를 정확히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엉치 통증의 직접적인 원인, 고관절 질환

고관절 질환도 엉치 통증을 일으킨다. 주로 엉덩이 후방 옆쪽이나 앞쪽 골반 부위에 통증이 생기고, 통증 때문에 걷기 힘들거나 양반다리 자세가 힘들어진다. 또한 고관절로 가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골반 부위를 손으로 짚은 채 몸을 움츠리는 자세를 취한다.


대표적인 고관절 질환으로 대퇴비구 충돌증후군이 있다. 야구, 에어로빅, 마라톤, 자전거 타기 등에 의해 관절이 과도하게 움직여 고관절을 이루는 대퇴골과 비구가 반복적으로 충돌하며 나타난다. 주로 걷거나 특정 자세를 취할 때 툭툭 소리와 걸리는 느낌이 나타난다. 통증이 심하지는 않지만, 반복되면 고관절 관절와순 파열, 고관절 활액막염 같은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

고관절 관절와순 파열은 골반과 허벅지뼈가 연결되는 관절 주변을 둘러싸서 고관절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관절와순이 파열된 질환이다. 초기엔 걷거나 양반다리 등 특정 자세를 취할 때 골반이나 허벅지에 불편을 느끼게 된다. 관절와순 파열이 심해지면 염증 물질이 생성되면서 고관절 활액막염으로 발전을 하는데, 이 때 엉치 통증이 생길 수 있다.

◇정확한 진단 선행돼야 제대로 치료

엉치 통증은 원인이 다양하고 복잡한만큼 정확한 진단이 선행돼야 한다. 연세바른병원 정형외과 강지호 원장은 "특히 고관절 질환의 경우 관절이 움직이는 정도에 따라 정밀 검사로도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증상을 유심히 살펴야 한다"며 "신경외과, 정형외과, 영상의학과 등 주요 진료과의 협진을 통해 엉치 통증 원인 질환에 대한 진단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엉치 통증이 허리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 때문이라면 비수술 치료법이나 최소 절개 수술을 우선으로 고려한다. 비수술 치료법은 다양한 연구를 통해 효과가 검증되고 있다. 최근 연세바른병원과 연세의대, 울산의대 등 7개 기관이 참여한 연구에서 풍선확장술이 척추관협착증으로 인한 허리통증과 하지(엉치, 다리)통증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임상의학저널'에 게재됐다. 2018년에는 허리디스크 등에 적용하는 경막외 내시경 시술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국제 저널 '통증 의사'에 게재됐다. 연세바른병원과 연세의대 등 4개 기관이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다.

비수술 치료법이 적용이 안 될 때도 있다. 신경 손상이 심해 다리 마비나 대소변 장애 등이 동반된 경우, 3개월 이상 비수술 치료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고관절 질환은 증상이 경미한 경우 휴식과 약물치료 같은 보존적 치료로 호전될 수 있다. 고관절 부위의 염증이나 경미한 손상의 경우 주사 치료를 통해 인대와 힘줄을 안정화시키고 염증을 줄여 통증을 완화시킨다. 하지만 이런 치료로 낫지 않으면 피부에 5㎜ 정도 구멍을 뚫고 초소형 카메라가 달린 내시경을 관절에 넣어, 파열된 병변 부위를 제거하거나 꿰매는 시술을 한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