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발치 없이 교정만으로 치아 이동...안정성 입증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서울성모병원 국윤아 교수팀 MCPP 교정치료 후 3년간 재발률 조사

이미지

MCPP를 입천장에 고정한 화면/서울성모병원 제공

치아를 뽑지 않아도 교정만으로 치아를 뒤로 이동시키는 교정법이 안정성 입증을 받았다.

서울성모병원 치과병원 국윤아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MCPP(Modified C-palatal plate)를 이용한 비발치 교정법’이다.

국윤아 교수팀은 서울성모병원 치과병원에서 상악치열을 후방 이동하는 치료를 받은 2급 부정교합 환자 23명(평균 나이 20.1세)을 대상으로 치료 종료 후 3년의 유지기간 동안 재발률을 조사했다. MCPP 치료 전, MCPP 치료 직후, 3년 후의 엑스레이 영상이미지를 비교해 치아가 후방 이동한 위치를 분석한 결과, 12%의 재발률을 보였다. 기존 장치(Herbst appliances)를 사용했을 때 39%의 재발률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장치를 이용할 때는 협측에서 교정력을 가해 어금니가 뒤로 쓰러지며 이동하지만, MCPP를 사용하면 구개측에서 교정력을 가해 치아가 평행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재발률이 낮다.




이미지

치료 전후 사진과 영상이미지: MCPP 비발치 교정법 치료 후 환자의 상악치열이 효과적으로 후방 이동했다./서울성모병원 제공

MCPP 비발치 교정법은 국 교수가 지난 2006년 세계 최초로 개발했으며, 발치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상악치열을 후방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이다. 과거 헤드기어와 같이 구외(口外) 장치를 착용해 치료하던 것과 달리, 특수하게 고안된 골격성 고정장치를 입천장에 고정해 심미적으로 효과가 있고 불편감을 최소화하며, 어금니와 전체 치열을 치아 뒤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발치를 하지 않기 때문에 자연치아를 보존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또한 골격적 부조화가 심해 수술이 필요한 환자가 MCPP를 사용해 비수술 교정치료를 할 수 있고, 치열에 공간이 부족해 치아가 매복되어 있는 환자도 치열을 후방 이동함으로써 공간을 확보해 매복된 치아를 살려서 쓸 수 있다.

MCPP 장치는 2019년 미국 최신치과교정학 교과서 개정판(Contemporary Orthodontics, 제 6판, ELSEVIER)에 훌륭한 치료 효과가 소개된 바 있다.

국윤아 교수는 “교정치료는 기능회복, 심미성, 안정성이 3대 목표인데 그중 안정성이 가장 중요하다”며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학술지에 서울성모병원이 개발한 MCPP 비발치 교정법의 안정성을 입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치과교정학회지(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12월호에 게재됐다.




嶺뚮씭�섓옙占� �곌랬�� �좎럥�삼옙占�

�좎떬�낅츩�브퀗�h땻占� �좎럩裕놅옙��쇿뜝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