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자신만 사랑하는 병 '자기애성 성격장애'… 당신은 아닌가요?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자기애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은 자신의 이미지를 손상시키는 일이 생기면 격분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40대 중반 A씨는 자신이 남들보다 매우 잘났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주변 사람에게 자신의 학력과 업무 능력을 자랑한다. 근무중인 회사도 자신이 다니기에 아깝다고 생각하고, 자기 의견이 항상 옳다고 여긴다. 최근에는 사내 회의에서 자신의 의견이 채택되지 않아 분을 참지 못하고 격렬하게 화를 냈다.

A씨는 '자기애성 성격장애' 환자다. 자기애성 성격장애 유병률은 전인구의 1~6%이며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많다. 자기의 독특함을 높게 평가하고, 자신의 무한한 잠재력에 대한 환상을 갖고, 숭배받고자 하는 욕구를 보이지만 내면의 자존감은 사소한 비판에도 손상되기 쉽고 취약하다. 상계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봉석 교수는 "이들은 자기의 중요성에 대한 거창한 인식을 가져 자신이 특별한 대우를 받기를 기대한다"며 "자기에 대한 비판에 잘 대처하지 못하고 누가 자기 이미지에 손상을 입혔다고 생각하면 격분하며, 반대로 완전히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고 말했다. 명성과 부를 얻는 데 야심을 갖고 있는 경우도 흔하다. 힘, 젊음을 특히 가치있게 여기며 집착해 중년에게 잘 생긴다.

어린 시절 비난, 업신여김, 방임을 겪어 이에 대한 두려움이 있거나 패배감 등이 있는 사람에게서 자기애성 성격장애가 잘 생긴다고 알려졌다. 김봉석 교수는 "이들의 대인관계는 빈약하고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목표만을 추구해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타인을 이용하려 한다”며 “취약한 자존감 때문에 작은 비난이나 지적, 거절에도 자존심의 상처를 심하게 받거나 격노하면서 우울증에 빠지기 쉽다”고 말했다. 비교적 덜 교만하지만 주위 사람 반응에 민감한 모습의 자기애성 성격장애도 있는데 이들은 개인적 우월감에 대한 확신을 내성적 태도, 자기희생적인 모습, 심지어 겸손한 태도 등으로 모습을 위장하기도 한다.​

김봉석 교수는 "대인관계의 어려움, 직업적 문제, 거절, 상실로 인한 스트레스는 자기애성 성격장애 환자가 흔히 겪는 스트레스인데, 이들은 이를 해결할 능력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자기애성 성격장애는 치료가 어렵다"며 "수년간의 집중적인 정신치료를 통해 환자들이 이상적인 환경 안에서 타인과 생각과 감정을 조화롭게 유지하는 법을 배우고 타인에 대한 공감적인 반응을 발달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자기애성 성격장애 완화를 위해 약물치료를 시행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한 불안증상에는 항불안제, 정신병적 증상에는 항정신병약물, 감정기복이 특징인 환자들에서는 리튬, 우울증상에는 항우울제를 사용한다.




占쎄퓭爰귨옙占쎌삕�좎럩�뺝뜝�덈굦占쎈벨�숅넫臾믪굲 占쎌쥙�∽옙��삕占쏙옙�용쐻�좑옙 占쎌쥙�⒳펺�뗭삕�앾옙�뗭삕占쎄퉮援꿨뜝�뚯쪣占쏙옙

�좎럩伊숋옙��숋옙�녿쫯�좎럥�뺧옙��삕影��덈튉占쎌쥜�� �좎럩伊숋옙�듭쭍占쎈굞�뺝뜝�숈삕占쎌슜�삼옙醫묒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