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식물 성분의 무기력증 개선제 '마인트롤'. /사진=동국제약 제공

동국제약은 식물 성분의 무기력증 개선제 ‘마인트롤’을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약은 체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의 분비를 조절해 피로하고 의욕이 떨어지는 무기력증과 불안 및 우울증상을 개선해준다.

주성분은 세인트존스워트의 꽃과 잎에서 추출한 식물 성분이다. ‘해피 허브’라고 불리는 이 추출물은 과거 유럽 수도사들이 수도원 생활을 하면서 무기력하고 불안할 때 차로 달여 수시로 마시면서 증상이 좋아졌다는 일화가 있다.

실제 임상 결과에 따르면 무기력, 불안, 우울 등 심리적 증상이 복용 2주부터 48% 개선되었고, 6주 복용시 80% 이상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개선 효과가 증가했다. 밤에 잠을 못 이루거나 새벽에 자주 깨는 등 수면 장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우리 몸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신체 보호를 위한 방어 작용으로 부신피질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을 분비한다. 하지만 반복적인 스트레스로 체내 코티솔의 혈중 농도가 정상치보다 높아질 경우, 신체적 변화와 함께 심리적 이상 증상으로 무기력증, 불안감 등이 나타난다.

무기력증은 현대인에게 나타나는 회의감, 피로감, 의욕저하 등 일련의 증상이다. 이는 체력이 결핍되거나 상실되는 무력증과는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무것도 하기 싫다’, ‘의욕이 없다’, ‘흥미나 재미가 없다’, ‘부정적인 생각이 든다’, ‘불안하고 초조하다’, ‘기분이 울적하다’, ‘잠들기 어렵고 자주 깬다’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스트레스로 인한 무기력증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우울한 상태에 빠지게 되며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성별이나 연령에 관계없이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호르몬 감소 요인에 따라, 특히 40대 전후의 중년 남성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실제 동국제약이 2018년 시장조사기관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40세 이상 남성 29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4명 중 1명이 무기력증을 경험하고 있었다. 특히 일조량이 적은 가을과 겨울철에 증상이 심해졌다.

동국제약 마케팅 담당자는 “무기력증은 초기부터 원인 치료를 통한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마인트롤처럼 효과가 입증된 의약품과 심리적 안정에 도움이 되는 스트레칭, 명상 등 생활요법을 병행하는 것이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약은 12세 이상 남녀 모두 복용이 가능하다. 1일 1정씩 3회, 4~6주 동안 꾸준히 복용한다. 일반의약품으로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다. 제품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동국제약 소비자 상담전화로 문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