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식욕억제제, 하루 44개씩 복용? "과다처방 문제"

이주연 헬스조선 기자

지난 4월 배우 양모씨가 펜터민 등 식욕억제제 8알을 먹고 환각 증세를 보여 강남구 논현동 한 도로를 가로지르고 뛰어다니는 등 이상행동을 보인 사건이 있었다. 양씨는 현장에서 마약 투약 혐의로 체포됐지만 식욕억제제 과다복용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밝혀져 무혐의로 풀려났다. 국내에서 매일 평균 3000여명이 식욕억제제를 처방 받아 지나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상희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8년7월~2019년6월 1년간 124만명 이상이 식욕억제제 2억3500만개 이상을 처방받았다고 7일 밝혔다. 하루 평균 3414명이 펜터민, 펜디메트라진, 디에틸프로피온, 마진돌, 로카세린 등 식욕억제제를 64만6000개씩 처방 받은 꼴이다.

가장 큰 문제는 환자의 과다처방 요구와 의료쇼핑이었다. 지난 1년간 환자 1명이 의료기관 12곳을 돌며, 93차례에 걸쳐 식욕억제제 1만6310개를 처방받은 사례가 있었다. 이를 단순 일수로 계산해보면 1일당 44개의 식욕억제제를 처방 받은 꼴이다. 이는 불법 판매하거나 오남용이 의심된다.

식약처는 의약품 허가기준에 따라 식욕억제제의 처방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의료기관에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의사가 고유 권한으로 과다처방을 한다해도 제제할 규정이 없다. 마약류로 지정돼 관리 중인 식욕억제제는 과다복용시 환청이나 환각, 심장 이상 등 치명적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지난 1년간 식욕억제제로 인한 부작용 보고 1279건 중 4건은 사망이었다.

식욕억제제를 가장 많이 처방하는 의료기관 종류는 의원급으로, 전체 처방량의 96.4%를 차지했다. 광주시 서구 모의원의 의사는 지난 1년간 38명의 환자에게 식욕억제제 3만8721개를 처방했다. 환자 1인당 1019개를 처방한 것이다. 서울시 강남구 모의원 의사도 같은 기간 식욕억제제 67만5025개를 744명에게 처방했다.

김상희 의원은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이 구축된 지 1년이 지난 만큼 식약처가 책임 있는 자세로 마약류 관리에 만전을 다해야 한다”며 “의사가 환자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환자 투약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