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한밤 중 실내온도가 28도를 넘으면 체온과 수면각성을 조절하는 시상하부 작동에 이상이 생긴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여름에는 열대야 때문에 밤잠을 설치는 사람이 많다. 열대야는 전날 저녁 6시부터 다음날 오전9시 까지 최저기온이 섭씨 25도 이상 유지되는 것이다. 적절한 수면 온도가 18~20도인 것을 감안하면 25도는 매우 높은 온도다.

더우면 잠이 안 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한밤중 실내온도가 28도를 넘으면 체온과 수면각성을 조절하는 시상하부 작동에 이상이 생기기 때문이다. 서울수면센터 한진규 원장은 "숙면을 취하려면 뇌가 밤이 왔다는 신호를 인식하고 수면호르몬인 멜라토닌을 분비해야 한다”며 “열대야 현상은 한밤중에도 한낮과 비슷한 섭씨 27~28도를 오르내리면서 뇌의 시상하부가 낮인지 밤인지 구분을 하지 못해 불면증이 생기게 된다”고 말했다.

열대야로 인한 불면증도 3주 이상 지속된다면 치료를 고려한다. 만성 불면증으로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원장은 "만성 불면증은 약물치료, 호흡치료, 빛치료, 인지행동치료 등의 방법을 통해 치료한다"고 말했다.

열대야 불면증을 극복하려면 실내온도를 낮추는 것이 기본이지만, 그 밖의 수면환경에도 신경 써야 한다. 조명 조도를 낮춰 어두운 환경을 만들고, 조명색은 색온도가 낮은 오렌지색을 권장한다. 스마트폰, 노트북 등 전자기기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는 멜라토닌 호르몬 분비를 방해하기 때문에 사용을 최소화한다. 체온과 비슷한 온도의 미지근한 물로 샤워를 해 몸의 온도가 떨어뜨리는 것도 숙면에 도움이 된다.​

한 원장은 “열대야 때문에 냉방 온도를 너무 내리면 오히려 차가운 공기와 건조함이 몸의 생체 균형을 깨뜨려 두통, 피로감, 어지럼증, 설사 등의 증상을 일으키고 숙면을 방해할 수 있다"며 "여름철 침실의 습도는 50%, 실내 온도는 25∼26도가 적당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