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하 입자, 안 녹는 제품 있어 잇몸에 깊이 박혀 염증 유발·악화
염증 있거나 임플란트 땐 안 써야
치약 속 알갱이는 치아 표면을 긁어 실제 이를 닦으면 개운한 느낌이 들게 한다. 하지만 일부 녹지 않는 재질로 만들어진 알갱이들은 잇몸 안에 박혀 문제를 일으킨다. 고대안암병원 치과보철과 류재준 교수는 "치약 알갱이 크기는 대부분 지름 1㎜ 이하로 매우 작다"며 "알갱이가 잇몸 깊이 박혀 스케일링을 해도 빠지지 않아, 잇몸을 수술해 제거해야 하는 수준에 이르는 환자도 있다"고 말했다. 온라인상에도 잇몸 염증으로 치과를 찾았다가 그제야 잇몸에 박힌 치약 알갱이를 발견, 제거했다는 후기가 적지 않다.

치약이나 화장품 제조에 쓰이는 녹지 않는 알갱이는 주로 플라스틱 재질인데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환경 오염 등을 이유로 2018년 7월부터 판매를 금지했지만, 아직 사뒀던 기존 제품을 쓰는 사람이 적지 않다. 또한 플라스틱 외에도 '제올라이트'라는 녹지 않는 광물로 만든 알갱이가 든 치약도 판매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