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

국내 비만치료 수술, ‘위소매절제술’ 가장 흔해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중앙대병원 김종원 교수팀, 국내 비만대사수술 현황 논문 발표

이미지

고도비만이나 당뇨 환자를 위해 시도되는 비만대사수술법 중 위소매절제술이 국내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중앙대병원 제공

고도비만이나 당뇨 환자를 위해 시도되는 비만대사수술법 중 위소매절제술이 국내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대학교병원 위장관외과 김종원 교수팀은 대한비만대사외과학회에서 취합한 2014~2017년 국내 대학병원 및 전문병원에서 실시한 비만대사수술 건수를 분석한 결과, 2014년에 가장 많이 시행되던 조절형위밴드삽입술은 점차 감소하고 있는 반면, 위소매절제술은 점차 증가해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는 비만대사수술인 것을 확인했다.

실제, 2014년 전체 비만대사수술 중 58%로 가장 많이 시행되던 '조절형위밴드삽입술(AGB; Adjustable Gastric Banding)'은 매년 줄어들어 2017년 16.6%로 감소한 반면, ‘위소매절제술(SG; Sleeve Gastrectomy)’은 2014년 18.9%에서 매년 증가세를 보이며 2017년 56.3%로 가장 많이 시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수술 건수는 2014년 913례에서 2015년 550례, 2016년 550례, 2017년 531례로 줄었다. 특히 개인전문병원에서 시행되는 수술 건수가 급격히 줄었으며, 대학병원에서 시행되는 수술 건수는 큰 변화는 없이 점차 조금씩 늘고 있는 추세를 보였다.​

비만대사국제학회인 IFSO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3년을 지나면서 위소매절제술이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경우는 세계적인 추세와 달리 2015년까지 조절형위밴드삽입술이 가장 많이 시행되어 왔다. 하지만 2016년 이후로는 세계 추세와 마찬가지로 위소매절제술 수술 건수가 가장 많이 차지하게 된 것이다.

김종원 교수는 “우리나라에서도 위소매절제술이 가장 많이 시행되는 수술이 된 이유는 2014년 국내 유명가수가 조절형위밴드삽입술 후 후유증과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한 사건이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면서, 개인전문병원에서 주로 시행되던 조절형위밴드삽입술 건수가 급감했기 때문"이라며 "2016년 이후로는 세계적인 추세와 마찬가지로 위소매절제술이 비교적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수술방법으로 인식되어 증가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위밴드삽입술은 위의 윗부분을 밴드로 조여 위의 크기를 줄여주는 수술이다. 수술이 간단하지만 수술 후 시간이 지나면서 밴드가 미끄러져서 문제를 일으키거나 위벽을 파고들어가는 미란이 발생하는 등 합병증으로 인해 밴드를 제거하는 재수술을 받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위소매절제술은 'D자'형의 위의 만곡을 소매형태로 절제해 'I자'형으로 만들어 음식 섭취량을 제한하면서, 식사량과 식욕에 영향을 주는 호르몬 분비를 줄여 체중 감량을 유도하는 수술이다. 수술 과정 자체는 위밴드삽입술에 비해 복잡하지만 루와이위우회술에 비해서는 간단한 편이며, 장기적인 합병증 발생 확률이 적어 안전하며 효과도 루와이위우회술과 견줄 정도로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종원 교수는 “위소매절제술은 위밴드삽입술과 같은 단순한 섭취 제한 수술이 아니라 호르몬의 변화를 일으키는 대사수술의 효과도 있다”며 “위소매절제술을 시행할 경우 위의 기저부에서 분비되는 식탐호르몬(Ghrelin) 농도를 낮추고 이로 인해 수술 후 식욕의 감퇴와 조기 포만감으로 체중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교수는 "위 기저부가 없어서 위의 수용성 이완 기능이 사라짐에 따라 고형 음식물에 대한 위 배출 시간이 빨라져 이로 인해 음식물이 빨리 회장 말단부에 도달하게 되어 당뇨의 치유에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더불어 위소매절제술은 수술 후 체중 감소에 실패하더라도 다른 수술로의 전환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비만대사외과학회지(Journal of Metabolic and Bariatric Surgery)에 게재됐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