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당신이 늘 피곤한 이유… 해법은 '유연성'에 있다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01/23 11:16
책 '몸이 뻣뻣한 사람을 위한 유연강좌'
최근 유연성을 기르는 전문적인 노하우를 담은 책 '몸이 뻣뻣한 사람을 위한 유연강좌(비타북스 刊)'가 발간돼 인기를 얻고 있다. 이 책은 일본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의 개인 피지컬 트레이너로 활약한 나카노 제임스 슈이치가 쓴 책이다. 아마존 재팬 건강 분야에서 화제의 베스트셀러로 꼽히며, 누적 판매 부수 20만 부 돌파한 책이다.
저자는 매일 간단한 스트레칭을 통해 유연성을 기르면 근육과 관절이 부드러워지고 혈액순환이 원활해져 쉽게 피곤해지지 않고, 허리·무릎·발목 등의 통증과 멀어질 수 있다고 한다.
◇내 몸은 얼마나 뻣뻣한 걸까?
◇유연성 높아지면 피로 풀리고, 부상 위험 줄어
둘째, 이유없이 피곤해지지 않고 최적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다. 유연성이 부족한 짧은 근육을 가진 사람은 긴 근육을 가진 사람에 비해 움직일 때 불필요한 힘이 들어간다. 그래서 근육이 쉽게 피곤해진다. 에너지 소비도 많아 피로로 이어진다.
스트레칭은 몸의 불균형을 없애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한쪽 어깨만 잘 뭉치거나 다리를 쭉 펴지 못하는 사람은 좌우 유연성의 차이 때문에 자세가 불균형해진 것이다. 본래의 유연성을 되찾으면 몸의 좌우 균형이 좋아져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통증도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스트레칭을 한다고 무턱대고 근육을 늘이다가 인대가 늘어날 수 있다. 인대가 늘어나면 관절에 좋지 않다. 인대가 늘어나 근육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면 뼈가 흔들려 불안정해지고 통증을 느끼는 경우도 생긴다. 따라서 아프지 않을 정도로, 시원함이 느껴질 정도로 기분 좋은 만큼만 스트레칭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