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습관일반

식사 후 ‘꾸벅꾸벅’ 식곤증이 오는 이유는?

김진구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과식을 피하고 스트레칭을 하면 식곤증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사진=헬스조선DB

점심식사를 마치면 졸음이 몰려와 업무나 학업에 지장을 받는 사람이 많다. 이를 식곤증이라고 한다. 식곤증은 보통 식사 이후, 그 중에서도 오후 2~3시에 몸이 나른해지고 잠이 쏟아지는 증상이다.

식곤증은 단순히 피로 탓이 아니다. 전날 잠을 얼마나 잤느냐와는 큰 관계가 없이 잠이 쏟아진다. 의학적으로는 식사 후 소화를 위해 음식이 위장으로 몰리면서 뇌로 가는 혈류가 줄어들어서 발생한다고 설명된다. 음식을 많이 먹었을 때 식곤증이 더 심한 이유다.

대부분 음식에 들어 있는 트립토판이라는 아미노산도 식곤증을 유발한다. 이 아미노산이 인체에 흡수되면 세로토닌으로 바뀐다. 행복 호르몬이라 불리는 세로토닌은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긴장을 완화시켜 졸음을 불러온다. 또한 세로토닌 일부는 수면 유도 호르몬인 멜라토닌으로 바뀐다.

식곤증을 막으려면 메뉴 선택이 중요하다. 과식은 피하고, 신선한 채소·과일을 먹는 것이 좋다. 과식하면 위장으로 가는 혈액이 더 많아져 뇌에 산소공급이 부족해진다. 같은 이유로 자극적인 음식도 마찬가지다. 채소·과일은 비타민·무기질이 풍부해 피로회복과 졸음을 깨는 데 효과적이다. 다만, 바나나와 우유는 피하는 것이 좋다. 여기엔 트립토판이 많이 함유돼 있기 때문이다.

식사 후 간단한 스트레칭을 하면 식곤증을 몰아내는 데 도움을 준다. 양손을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면 효과적이다. 일례로 오른손은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동시에 왼손은 오른쪽·왼쪽으로 왕복하는 식이다. 이후 손을 바꿔 왼손은 세로로, 오른손은 가로로 움직인다. 이같은 동작은 좌우뇌를 모두 자극한다. 양쪽 뇌를 골고루 자극하면 두뇌가 전체적으로 활성화된다.

식곤증이 너무 심하다면 10~15분 정도 눈을 붙이는 것도 방법이다. 단, 수면 시간이 20분을 넘기지 않도록 하고 목베개나 쿠션을 이용해 목에 무리가 가지 않는 자세로 자야 한다. 책상에 엎드려 자면 허리가 앞으로 꺾이며 허리가 받는 부담이 늘어나므로 의자에 기대서 자는 자세가 좋다. 또 책상에서 자는 자세 중 가장 안 좋은 자세는 책상에 다리를 올리고 자는 자세다. 목과 허리가 꺾여 목뼈나 허리뼈가 큰 부담을 받기 때문이다. 근육이 경직되며 무릎에도 부담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다리를 올리고 자고 싶다면 의자보다 약간 낮은 보조의자를 사용해 무릎이 엉덩이보다 약간 높은 정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물론 상사의 눈도 잘 피해야 한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