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비인후과

코피 자주 나고 안 멈춘다면 '이 질환' 의심해야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 장서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이미지

코피가 났을 때의 대처법과 원인에 대해 알아본다/사진=조선일보 DB

코피가 나는 원인은 다양하다. 원인 중에는 외상이 가장 흔한데, 대부분 혈관이 모여 있는 코 앞쪽 부위(비중격)에서 출혈이 생긴 것이다. 코를 세게 풀거나 어린아이가 손가락으로 콧속을 후비는 경우 비중격 벽에 상처가 생겨 코피가 나기 쉽다. 콧속이 건조할 때도 코피가 난다​. 또한,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혈압이 상승해도 코피가 난다. 코피와 함께 잇몸 출혈도 잦다면 간 질환이 원인일 수 있다. 간 기능이 크게 떨어지면 간에서 혈액응고인자를 충분히 만들지 못해 작은 충격에도 멍이 잘 들고 잇몸이나 코의 안 쪽 벽 등 피부가 약한 곳에서 출혈이 쉽게 생긴다.

코피가 1년에 2회 이상 반복되면서 15분 이내로 지혈되지 않으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 대표적인 원인은 비중격만곡증과 혈소판감소증이다. 비중격만곡증은 비중격이 휘어진 증상인데, 이 상태에서 숨을 쉬면 공기가 코안의 특정 부위에만 닿아 코점막이 건조해지고 출혈이 생긴다. 혈소판감소증에는 백혈병, 다발성골수종, 혈우병 등이 해당한다.

 

또한, 코피가 흐를 때 목 뒤로 계속 넘어간다면 코 뒤쪽 부위가 손상된 것일 수 있다. 이때는 집에서 지혈할 방법이 없으므로 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코 뒤쪽에서 생긴 출혈은 출혈량이 많을 수 있어 더욱 위험하다. ​

 

코피가 나면 고개를 아래로 숙여야 한다. 피가 코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음식 냄새를 맡듯이 목을 약간 앞쪽으로 숙인다. 이 상태에서 양 콧방울을 동시에 잡아 세게 누르면서 출혈 부위를 10~15분 정도 압박하면 대부분 코피가 멎는다. 휴지나 솜으로 코를 세게 틀어막는 것은 오히려 점막을 손상시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