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임신한 며느리 비행기 타는 게 걱정? '이때'라면 안전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임신 13~36주차에는 비행기를 타도 괜찮다는 게 영국왕립산부인과학회 가이드라인이다./조선일보 DB

'임신 중 비행기를 타면 태아에게 안 좋을 것'이라는 막연한 추측이 있다. 임신하면 정말 비행기를 타면 안 될까?

영국왕립산부인과학회에서 발표한 '임신부 비행기 탑승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임신 13~36주차에는 비행기를 타도 괜찮다. 37주째부터는 언제든 아기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비행기를 타면 안 된다. 쌍둥이 같은 다태아를 임신한 경우라면 그보다 더 빨리 출산할 수 있으므로, 이때는 32주차까지만 비행기를 탈 것을 권장한다.

임신 36주차 이전의 산모라도 조기 분만할 가능성이 있다면 비행기를 타지 않는게 좋다. 조기 분만 가능성은 혈액검사·질분비물 검사·초음파검사·자궁수축 모니터링·양수검사 등으로 알 수 있지만, 아랫배가 뭉쳤다가 괜찮아지기를 반복하거나, 태동이 줄거나, 주기적으로 복통이 느껴져도 조기 분만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본다.

임신부가 비행기 탑승 시 걱정하는 것 중 하나가 방사선 노출인데, 그 피폭량은 양수와 양막 등으로 둘러싸인 태아에게 영향을 끼칠만큼 많지 않다. 오히려 심부정맥 혈전증이 생기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심부정맥 혈전증이란 다리의 혈액순환이 잘 안 돼 혈전(피떡)이 생기는 질환으로, 통증이나 호흡곤란 등을 유발한다. 임신부는 오래 앉아 있으면 골반 주위의 혈관이 눌리기 때문에, 심부정맥 혈전증이 생길 가능성이 크다.

가이드라인은 임신부가 네 시간 이상 비행한다면 △헐렁한 옷과 편한 신발을 착용하고 △복도 쪽에 앉아 30분에 한 번씩 통로를 걸어 다니고 △물을 조금씩 자주 마시고 △알코올·커피·탄산음료 마시는 것을 삼가고 △압박스타킹을 신을 것을 권고한다.

중증 빈혈이 있거나, 질 출혈을 겪었거나, 호흡기·순환기 문제가 있는 임신부라면 임신 기간에 상관 없이 비행기를 탈 수 없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