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질환
변비에는 식이섬유? 경련성에는 효과 'X'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 정선유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2018/06/24 08:00
변비가 있으면 변이 장 속에서 굳어 잘 나오지 않고, 배변시 출혈이나 통증이 생긴다. 흔히 변비에는 식이섬유 섭취가 좋다고 한다. 그러나 변비 종류에 따라 식이섬유 섭취는 득이 되기도, 실이 되기도 한다.
◇장운동 느려진 이완성 변비는 식이섬유 먹어야
직장의 연동운동이 약해져 생기는 변비가 '이완성 변비'다. 변을 자주 보지 않고 주로 한 번에 변을 내보낸다. 변이 장에 오래 머무르면서 변의 부피가 작고 딱딱해진다. 초기에는 증세가 없지만 심해지면 복부 팽만감, 압박감을 느끼고 아랫배에서 딱딱한 것이 만져지기도 한다. 주로 노인·비만자·임산부 등에서 나타난다.
이완성 변비라면 식이섬유를 많이 섭취해야 장이 활발하게 움직이면서 변비 증상이 좋아진다. 공복에 차가운 물이나 우유를 마셔도 장 운동을 자극한다. 단, 단백질을 응고시키는 탄닌 섭취는 자제하는 게 좋다. 탄닌 함유 식품은 ▲덜 익은 바나나 ▲쑥 ▲차 ▲코코아 ▲초콜릿 등이다.
◇장 수축한 경련성 변비, 식이섬유 조금만
경련성 변비는 이완성 변비와 반대로, 대장이 불규칙하게 운동하면서 대변을 제대로 이동시키지 못해 생긴다. 배변 욕구가 느껴지고 비교적 자주 변을 보지만 개운하지 않은 게 특징이다. 변이 딱딱하고 동그랗게 끊어져 '토끼 똥' 모양을 하고 있다. 대장에 경련이 생길 때 대변이 작게 조각나기 때문이다.
경련성 변비는 식이섬유를 많이 먹으면 안 좋다. 식이섬유가 대장에 도달해 장을 자극하면 오히려 경련이 심해질 수 있다. 채소를 먹을 때는 삶거나 데쳐 부드럽게 만들어 먹어야 한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는 변비약으로도 큰 효과를 보기 어렵다. 스트레스를 줄이고, 대장을 자극하는 ▲맵고 짠 음식 ▲알코올 ▲탄산음료 ▲기름진 음식 ▲지나치게 차가운 음식은 피하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