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중앙심리부검센터 발표에 따르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 10명 중 9명 이상이 주변에 경고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를 알아차린 유가족은 5명 중 1명에 불과했다. ​사진=헬스조선 DB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 10명 중 9명 이상이 주변에 경고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를 알아차린 유가족은 5명 중 1명에 불과했다.

보건복지부 산하 중앙심리부검센터는 2015~2017년 중앙심리부검센터로 신청·의뢰된 자살사망자 289명의 심리 부검을 분석한 결과를 오늘(3일) 발표했다.

분석 결과, 구체적으로 자살사망자의 92%가 사망 전 "죽고싶다"고 하거나 주변을 정리하고 우울감·불안감을 드러내는 등 언어·행동·정서상태 변화를 통해 경고신호를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살 유가족의 21.4%만 이러한 경고 신호를 인지했다. 또한 자살 경고 신호를 인지해도 자살 의사를 확인하거나 전문가에게 연계하는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했다.

자살 사망자 상당수는 약물이나 알코올 섭취로 자극을 추구하거나(36%), 자해(12.8%), 자살시도(35.6%)를 한 적이 있었다.

자살 사망자의 스트레스 요인은 정신건강 문제(87.5%), 가족관계(64%), 경제적 문제(60.9%), 직업관련 문제(53.6%) 순으로 많았다. 이 중 정신건강 문제로는 수면문제(62.3%), 체중 증가 또는 감소(62.3%), 폭식 또는 식욕 감소 문제(39.8%) 순으로 흔했다. 경제적 문제는 부채(71%), 수입감소(32.4%)가 흔했고, 부채발생 사유는 생활비 충당(24.8%), 주택구입(21.6%), 사업자금 마련(20.8%) 순으로 많았다.

연령별로도 달랐다. 청년기(19~34세)에는 연애관계와 학업에 의한 스트레스가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중년기에는(35~49세) 직업관련(59.4%), 경제적 문제 스트레스(69.8%)가 많고 특히 부채로 인한 스트레스가 다른 연령대보다 많았다. 장년기(50~64세)에는 직장 스트레스(59.7%), 특히 실업 상태로 인한 문제와 경제적 문제 스트레스(64.9%)가 가장 흔했다. 노년기(65세 이상)에는 신체 건강과 관련한 스트레스(80.6%)가 가장 많았다.

자살유가족은 자살사건 발생 후 일상생활이 바뀌었고, 우울, 불안, 초조, 공포, 불면증 등 심리적‧정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유가족의 63.6%는 고인이 자살로 사망했다는 것을 사실대로 알리지 못한 적이 있다고 답변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심리부검 결과를 바탕으로 자살예방 국가행동계획을 시행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가족, 친구, 이웃 등 주변인의 자살위험 신호를 신속하게 파악해서 적절하게 대응하도록 훈련받는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교육 프로그램을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또 갑작스러운 가장의 자살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 대한 지원 방안을 마련해 추진할 예정이다.

경찰청은 전국 경찰관서(254개)를 통해 자살사망 사건 수사 시 유가족 관련 지원 사항을 적극적으로 알릴 예정이다. 전국 243개 정신건강복지센터를 통해 유가족 상담을 통한 심리부검과 자살유가족에 대한 심리상담·치료비를 지원한다.

중앙심리부검센터 전홍진 센터장은 “가족·친구 등 주변 사람들이 이전과 다른 언어적, 정서적, 행동적 변화를 보인다면 지역의 정신건강복지센터(1577-0199)와 정신의료기관 등 자살예방 전문기관에게 연결해야 한다”며 “주변 관심을 통해 살릴 수 있는 생명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