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
화장품 썼을 때 시린 눈…자꾸 써도 될까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8/05/03 08:00
화장품을 바른 뒤, 눈이 시리고 따가울 때가 있다. 왜 그럴까? 눈 시린 화장품을 쓰면 안구(眼球)에 문제는 없을까?
눈이 시리고 따가운 이유는 화장품 속 특정 성분 때문이다. 전문가들이 꼽은 눈 시림 유발 화장품 성분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레티놀 ▲나이아신아마이드 ▲페녹시에탄올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등이 대표적이다. 자외선차단제, 주름·미백용 화장품에 이런 성분이 많이 들었다.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는 자외선 UVB를 차단하는 성분이다.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유기 자외선 차단제)에 대부분 들어간다. 레티놀은 비타민A의 일종이다. 피부 각질 제거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있다.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비타민B 복합체로 미백 효과가 있다. 페녹시에탄올은 화장품이 세균에 오염되지 않게 해 주는 보존제며,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는 거품을 나게 하는 계면활성제다.
이런 성분은 각막·눈 점막에 자극을 주고, 알레르기성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화장품을 얼굴에 바르면 당연히 눈 주위에도 바르게 된다. 이때 땀·유분 등에 의해 해당 성분이 흘러내리면서 눈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건국대병원 안과 신현진 교수는 “각막이나 눈 점막은 신경 분포가 풍부하게 되어 있어, 무척 예민한 조직”이라며 “자극을 주는 물질에 눈에 들어가면 각막에 분포하는 신경이 자극을 받아 눈물이 나고, 알레르기 반응으로 눈이 붓고, 염증 반응으로 충혈이 생기면서 시린 느낌이 든다” 고 말했다. 센트럴서울안과 김균형 원장은 “화학적 독성에 의한 자극증상 자체만으로도 눈이 시릴 수 있다”며 “이런 자극이 반복되면 세포손상을 유발할 수 있어, 특정 제품을 사용하고 눈이 심하게 시리다면 피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거나, 안구건조증이 심하다면 더욱 주의해야 한다. 신현진 교수는 “렌즈 착용이나 안구건조증으로 각막에 미세한 손상이 있다면 눈 시림이나 충혈, 눈물 증상이 더 잘 나타난다”며 “불편함 때문에 자꾸 눈을 비비기도 하는데, 이때 각막이 더 심하게 손상된다”고 말했다.
화장품을 바른 뒤 눈시림이 심하다면 해당 제품 사용은 피하는 게 좋다. 눈물 성분의 안연고를 처방받아 눈 주변에 바르는 것도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