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학과
"배 한 박스 들 수 있나요?" 한국인 근감소증 선별 검사법 나왔다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8/04/26 17:19
한국인에 맞는 근감소증 선별 방식이 개발됐다.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원장원·김선영 교수팀이 한국노인노쇠코호트(KFACS) 연구자료를 분석해 개발한 것으로, 노인의학의 세계적인 대가 John E. Morley 교수가 개발한 질문지를 한국인 실정에 맞도록 완성했다.
질문 항목은 근력, 보행 보조, 의자에서 일어서기, 계단 오르기, 낙상 등 총 5가지다. 문진을 통해 근감소증을 간단하게 선별할 수 있다. ▲무게 4.5kg(9개들이 배 한 박스)를 들어서 나르는 게 얼마나 어려운가 ▲방안 한 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걷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 ▲의자(휠체어)에서 일어나 침대(잠자리)로, 혹은 침대(잠자리)에서 일어나 의자(휠체어)로 옮기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 ▲10개의 계단을 쉬지 않고 오르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 ▲지난 1년 동안 몇 번이나 넘어졌는가에 답한 뒤 점수를 합산하면 된다. 첫번째~네번째 질문에는 전혀 어렵지 않다(0점), 조금 어렵다(1점), 매우 어렵다(2점)로 나눠 점수를 매기고, 다섯번째 질문은 전혀 없다(0점), 1~3회(1점), 4회 이상(2점)으로 구분한다. 10점 중 4점 이상이면 근감소증을 의심할 수 있다.
기존에는 근감소증을 진단하기 위해 근육량과 함께 보행속도나 악력이 같이 감소돼야 하는 등의 조건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측정 없이도 이번에 개발된 질문지를 통해 근감소증을 선별할 수 있다. 원장원 교수는 “근감소증 선별 질문지는 외래 진료 시 노인들의 근감소증뿐 아니라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는 JAMDA 저널에 게재됐다.